환경부는 노후 산업단지 내 화학 사고로 인한 대형 참사를 막기 위해 원격 모니터링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 대응 용역을 실시한다고 6일 밝혔다. 현재는 화학 사고 발생 신고가 접수된 이후에야 대응팀이 현장에 출동하고 있어 사고 인지·신고가 늦어지면 대형사고로 연결될 우려가 큰 상황이다.

환경부는 화학 안전관리의 4차 산업(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접목과 감염병 전파 등 여건으로 원격 모니터링 사업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취급 시설이 넓은 지역에 분포된 경우, 작업자가 부재한 새벽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최초 사고 발견자가 현장에서 사망한 경우 등에 효율적 대응을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용역을 통해 ▲화학 사고 원격 모니터링 관련 국내외 기술현황 사례 조사 및 분석 ▲예비타당성 조사 핵심 이슈 및 예상 쟁점 도출 ▲사업 기획 내용과 경제적·기술적 타당성 분석 등을 수행토록 한다.

최준영 기자
최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