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의 30대 경찰관이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맞고 사지 저림 등 부작용 증세를 보인 후 최종 ‘뇌출혈’ 진단을 받았다.
9일 강원경찰청 소속 30대 A 경위에 따르면 그는 전날 정밀검사를 진행한 대학병원으로부터 ‘상세 불명의 뇌내출혈’ 진단을 받았다.
A 경위는 지난달 29일 기저질환이 없는 상태에서 AZ 백신을 맞은 뒤 이틀 후인 이달 1일 양쪽 허벅지에 감각 저하를 느꼈다. 이어 4일 좌뇌에 뇌출혈 소견의 진단을 받은 그는 뇌 정밀검사를 진행했고, 결국 뇌출혈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백신 접종과 인과성은 진단서에 명시되지 않았다.
병원에서 퇴원한 A 경위는 현재도 어지럼증과 사지저림 증상을 느끼고 있으며, 단기기억력 저하 증세도 겪고 있다. 앞으로 뇌 기능을 개선하는 약물을 복용해야 하는 것은 물론 정기적으로 자기공명영상장치(MRI) 검사를 받아야 한다.
동료 경찰관들은 “A 씨가 공무상 재해로 인정받도록 힘을 모아보려고 한다”며 “한 가정에 생긴 불행으로 한정 짓지 말고, 부작용 문제가 공론화되어 더 큰 불행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달라”고 했다.
춘천시보건소는 A 씨의 사례를 이상 반응 사례로 질병관리청에 보고한 뒤 A 씨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춘천=이성현 기자 sunny@munhwa.com
9일 강원경찰청 소속 30대 A 경위에 따르면 그는 전날 정밀검사를 진행한 대학병원으로부터 ‘상세 불명의 뇌내출혈’ 진단을 받았다.
A 경위는 지난달 29일 기저질환이 없는 상태에서 AZ 백신을 맞은 뒤 이틀 후인 이달 1일 양쪽 허벅지에 감각 저하를 느꼈다. 이어 4일 좌뇌에 뇌출혈 소견의 진단을 받은 그는 뇌 정밀검사를 진행했고, 결국 뇌출혈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백신 접종과 인과성은 진단서에 명시되지 않았다.
병원에서 퇴원한 A 경위는 현재도 어지럼증과 사지저림 증상을 느끼고 있으며, 단기기억력 저하 증세도 겪고 있다. 앞으로 뇌 기능을 개선하는 약물을 복용해야 하는 것은 물론 정기적으로 자기공명영상장치(MRI) 검사를 받아야 한다.
동료 경찰관들은 “A 씨가 공무상 재해로 인정받도록 힘을 모아보려고 한다”며 “한 가정에 생긴 불행으로 한정 짓지 말고, 부작용 문제가 공론화되어 더 큰 불행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달라”고 했다.
춘천시보건소는 A 씨의 사례를 이상 반응 사례로 질병관리청에 보고한 뒤 A 씨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춘천=이성현 기자 sunny@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