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전 청와대에서 김부겸(오른쪽) 신임 국무총리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전 청와대에서 김부겸(오른쪽) 신임 국무총리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 ‘인사파동’ 후 黨-靑 관계

文, 임혜숙·노형욱 장관도 임명
與지도부 회동 권력구도 변곡점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전 김부겸 국무총리,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을 임명했다. 지난달 개각 발표 이후 계속됐던 청문 정국이 28일 만에 일단락됐다. 야당 동의 없는 장관급 이상 인사를 30~32번째 임명하며 지난 4년간 계속됐던 야당 패싱 기조가 이어진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박준영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끌어낸 상황은 향후 여권 내 권력 구도 변화의 변곡점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여권 내 비주류로 분류되는 송영길 민주당 대표, 김부겸 총리가 제 목소리를 낼 경우 당·정·청 사이 긴장 관계가 형성되거나 국정 운영의 무게 중심이 당정으로 급격히 옮겨 갈 가능성도 열려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7시쯤 김 총리에 대한 임명안을, 오전 9시에는 임 장관과 노 장관에 대한 임명안을 잇달아 재가했다. 오전 10시 20분에는 이들을 청와대로 불러 지난 6일 임명된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안경덕 고용노동부 장관과 함께 임명장을 수여했다. 문 대통령이 일사천리로 임명 절차를 완료한 것은 최근 인사청문 과정에서 불거진 각종 논란을 최대한 빨리 매듭짓고, 남은 임기 1년간 국정 장악력을 유지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그동안 인사 불퇴를 고집했던 문 대통령이 박 후보자의 자진 사퇴 형식으로 후보자를 중도 하차시킨 것은 향후 당·청 간 주도권 변화의 시작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신현영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KBS 라디오에서 “실제로 당 중심의 당·정·청 관계를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향후 차기 대통령 선거 후보자가 구체화되면 당으로 힘이 더 급격히 쏠릴 수 있다는 예상도 있다. 종합부동산세 등 부동산 세제, 손실보상제 등 정책 이슈를 두고 당·청 간 이견이 어떻게 정리되느냐가 향후 여권 내 권력 향배의 가늠자가 될 전망이다.

민병기 기자 mingming@munhwa.com

관련기사

민병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