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박 5일 일정의 미국 방문을 마치고 23일 서울공항에 도착한 문재인 대통령이 김현수(왼쪽) 공군 제15특수임무비행단장의 경례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3박 5일 일정의 미국 방문을 마치고 23일 서울공항에 도착한 문재인 대통령이 김현수(왼쪽) 공군 제15특수임무비행단장의 경례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 정상회담 이후 韓美관계 전망

임기말 文- 임기초 바이든 시점差
동맹 복원했지만 우선의제 달라

美, 文정부 對北정책 사실상 인정
무리한 미북대화 추진 땐 파열음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간 한·미 정상회담은 흔들렸던 한·미 동맹을 복원하고 한 차원 높은 글로벌 동맹으로 진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안미경중(安美經中·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 기조가 ‘안미경미(安美經美)’로 바뀌었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경제동맹도 강화됐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하지만 향후 정상회담의 성과가 구체화되는 과정에서 이제 막 임기를 시작한 바이든 대통령과 1년여의 임기를 남겨둔 문 대통령의 ‘시간표’가 엇갈려 두 대통령이 중점을 두는 우선순위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이 변수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큰 그림’을 보여준 총론과 달리 대북·대중·경제 등 각론에서는 한·미 양국 간 이견이 노출될 가능성이 여전히 열려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여권 관계자는 24일 “공동성명에 판문점 선언과 싱가포르 회담의 성과를 명시한 것은 기존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을 바이든 정부도 인정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대화와 외교를 통한 대북 접근법을 모색하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는 게 대체적인 평이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가 대북 레거시(유산)에 집착해 무리하게 남북 간, 미·북 간 대화를 추진할 경우 파열음이 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대외정책의 유턴’(윤덕민 전 국립외교원장)이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미국의 대중 견제 전략에 문 대통령이 보조를 맞춰준 지점도 주목된다. 한·미 동맹의 진화와 전환을 염두에 둔 판단으로 풀이된다. 단 중국의 반발 여부가 변수다. 아울러 미국의 대중 견제가 본격화됐을 때 실질적 협력이 얼마나 이뤄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문 대통령은 정상회담 일정 외 한·미 양국의 반도체·배터리·자동차·백신 등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들이 참여한 행사에 잇따라 참석했다. 하지만 경제에서 미국보다 중국의 의존 비중이 큰 상황은 또 다른 도전 과제가 될 전망이다.

민병기 기자 mingming@munhwa.com·워싱턴=공동취재단

관련기사

민병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