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추진하는 제 3차 경기도 산하기관 이전 계획 대상지로 7개 공공기관이 이전할 시·군이 결정됐다.
경기도는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3차 공공기관 이전 주사무소 선정에 대한 시·군 공모를 마치고 7개 기관의 새로운 보금자리를 최종 확정,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전 기관 최종 입지는 △경기연구원 의정부시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이천시 △경기복지재단 안성시 △경기도농수산진흥원 광주시 △경기신용보증재단 남양주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GBSA) 파주시△경기주택도시공사(GH) 구리시로 결정됐다.
1·2차 심사를 거쳐 선정된 이번 공모에서는 중첩규제로 행정인프라가 부족한 의정부·남양주·구리가, 한강수계의 수질과 녹지 등 자연환경을 보전할 필요가 있는 자연보전권역 이천·안성·광주가 , 운정·교하 신도시가 조성됐지만 군사보호구역이 많은 파주가 배려됐다.
그러나 소외지역 연천·포천·가평은 1∼3차 공모에서 연거푸 탈락함으로써 공공기관 분산배치를 통한 지역간 균형발전에 대한 논란이 일 전망이다. 3개 기관을 이전한 고양시와 형평성이 맞지 않기 때문이다.
이전지로 확정된 7개 시·군은 입지 대상기관과 연계한 종합 발전방안을 수립하고, 기관이 사용할 건물 및 부지 등의 정보제공과 행정적 지원 등 경기도와 지속해서 협력관계를 구축해 이전을 추진하게 된다.
도는 공모에 탈락한 시·군에 대해서는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기반시설 조성 등의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앞서 도는 지난 3월 산하 7개 공공기관 3차 이전 공모를 진행, 마감한 결과, 17개 시·군이 1∼7개 공공기관 유치를 신청, 평균 6.42 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이번 공모에서는 지역경제 특성에 맞는 공공기관 1∼2개만 골라 집중 공략한 구리시와 파주시가 유치에 성공해 관심을 모았다.
안승남 구리시장과 최종환 파주시장은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열린 2차 심사에 참석해 직접 프레젠테이션(PT)을 발표하는 성의를 보였다.
구리시는 세수증대(100억 원)와 지역경제 유발효과가 큰 GH만을 선택해 유치 서명운동과 도민 청원을 벌이는 등 모든 행정력을 동원했다.
인근 다산신도시를 조성한 GH가 현재 추진중인 구리 한강변 스마트 도시개발사업과 E-커머스 혁신물류단지 조성사업을 지원할 수 있는 점이 고려된 것으로 알려졌다.
GH 신사옥이 들어설 토평동 부지는 시가 한국토지공사(LH)를 상대로 토평지구 부당이득 환수를 요구해 얻어낸 큰 의미가 있는 땅이다.
파주시는 평화산업 확장을 내세워 GBSA와 GH 등 2개 유치를 위해 전 직원이 SNS를 통한 여론전에 나서기도 했다.
앞서 도는 2019년 12월 경기관광공사, 경기문화재단,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등 3곳의 공공기관을 고양시에 있는 ‘고양관광문화단지’ 이전을 결정했다.
이어 지난해 9월에는 시·군 공모를 통해 경기교통공사와 경기도일자리재단,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을 각각 양주시와 동두천시, 양평군, 김포시, 여주시로 이전하기로 확정한 바 있다.
한편,김광철 연천군수는 28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공공기관 이전에 국가를 위해 특별한 희생을 한 ‘저개발의 상징’ 연천군이 포함되지 않은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의정부·수원=오명근·박성훈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