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충원서 “목숨으로 지킨 한국
공정과 상식으로 바로세울 것”
카이스트 核공학과 학생도 만나
보훈·원전 내세워 보수표 결집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6일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천안함 희생자, 연평해전 희생자 분들이 목숨 바쳐 지킨 이 나라를 공정과 상식을 가지고 바로 세우겠다”고 말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 보훈정책에 대해서도 각을 세웠다. 같은 날 오후에는 카이스트 원자핵공학과 학생들과 대화하며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문제점을 청취했다.
윤 전 총장은 이날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을 방문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이분들이 잠들어 계신 모습을 보니 나라가 어떤 것이고 우리가 국가를 위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다시 한 번 결의와 각오가 세워졌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 보훈 정책과 관련해선 “제가 K9 (자주포 폭발사고 피해자) 이찬호 씨와 천안함 (생존자 예비역 전우회) 전준영 회장을 통해 그분들이 겪었던 일을 자세히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보훈과 국방은 동전의 앞뒷면과 같이 하나라고 생각한다. 국방 강화도 중요하고 마찬가지로 국가를 위해 희생된 분과 가족들에 대한 보훈도 확실하게 챙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전 총장이 민생 행보 첫 일정으로 안보를 내세우며 문 정부 보훈 정책과도 대립각을 세우는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이날 현충탑에 참배한 뒤 천안함 46용사 묘역을 가장 먼저 찾았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취임 후 첫 일정으로 방문했던 곳이기도 하다.
그는 이어 천안함 수색 과정에서 유명을 달리한 고 한주호 준위의 묘가 있는 장병 제3묘역, 연평도 포격전 전사자 묘역을 차례로 들렀다. 참배 과정에서 “여긴 21살이고, 여기는 20살이고…”라며 말을 잠시 흐리기도 했다. 참배 뒤에는 “꽃다운 나이에 인생을 제대로 피워보지도 못하고 국가를 위해 순국한 젊은 영령들을 진심으로 애도한다”고 강조하며, 현충원을 첫 일정으로 택한 데 대해서도 “당연히 와야 하는 곳”이라고 했다.
윤 전 총장은 곧바로 카이스트로 향해 원자핵공학과 석·박사 과정 학생들과 점심을 함께 했다. 전날 서울대에서 주한규 원자핵공학과 교수를 만난 데 이어 두 번째 탈원전 비판 행보다. 윤 전 총장은 전날 주 교수를 만난 뒤 기자들에게 “총장을 관둔 것 자체가 월성 원전 사건 처리와 직접 관련이 있다. 굉장한 압력이 들어왔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이날도 “작년 하반기 감사원 고발, 검찰 수사가 이뤄질 때 어떻게 했는지 다시 보라”고 말했다.
윤 전 총장은 주 교수와 면담한 뒤 “(탈원전 정책에 따른) 졸속 탈원전 방향은 반드시 수정돼야 한다”며 문 정부의 탈원전 기조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대전=김현아 기자 kimhaha@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