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상용화 성과 점검
정부의 차세대 전력 반도체 상용화 사업으로 지난 2년 반 동안 390억 원 규모의 매출 성과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반도체산업협회와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한 ‘신산업 창출 파워 반도체(전력 반도체) 상용화 사업 성과 점검 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사업은 실리콘 및 화합물(SiC, GaN) 소재 전력 반도체의 기반 구축을 지원하는 내용이다.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추진하며 총 836억 원을 투입한다. 이날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참여 기업들의 제품 개발을 통해 2019년부터 올해 5월까지 매출 390억 원 규모의 사업화 성과가 창출됐다.
대표적으로 A사는 사물인터넷(IoT) 기기용 고효율 배터리 관리 반도체를 개발해 누적 21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B사는 자동차 조향에 활용되는 반도체 개발에 성공, 완성차 업체에 납품해 누적 약 80억 원의 매출 성과를 냈다.
정부는 본격적인 화합물 반도체 상용화·양산기술 확보를 위해 내년부터 ‘화합물 기반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박수진 기자 sujininvan@munhwa.com
정부의 차세대 전력 반도체 상용화 사업으로 지난 2년 반 동안 390억 원 규모의 매출 성과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반도체산업협회와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한 ‘신산업 창출 파워 반도체(전력 반도체) 상용화 사업 성과 점검 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사업은 실리콘 및 화합물(SiC, GaN) 소재 전력 반도체의 기반 구축을 지원하는 내용이다.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추진하며 총 836억 원을 투입한다. 이날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참여 기업들의 제품 개발을 통해 2019년부터 올해 5월까지 매출 390억 원 규모의 사업화 성과가 창출됐다.
대표적으로 A사는 사물인터넷(IoT) 기기용 고효율 배터리 관리 반도체를 개발해 누적 21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B사는 자동차 조향에 활용되는 반도체 개발에 성공, 완성차 업체에 납품해 누적 약 80억 원의 매출 성과를 냈다.
정부는 본격적인 화합물 반도체 상용화·양산기술 확보를 위해 내년부터 ‘화합물 기반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박수진 기자 sujininvan@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