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셋 센서로 실시간 체크
주의력 분산·이상 증세땐
LED·시트·스피커로‘경고’
경기도 공공버스부터 적용
뇌파를 측정해 운전자의 컨디션을 확인하고 졸음운전이나 건강 이상 증세가 갑자기 발생할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줘 사고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헬스케어 기술이 국내 기술진에 의해 개발돼 처음으로 상용화된다. 차량용 헬스케어 기술은 인캐빈(In-Cabin)으로 불리는 탑승객 안전 편의 주요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세계 최초로 이런 내용의 뇌파 기반 헬스케어 신기술인 ‘엠브레인(M.Brain)’ 개발에 성공해 경기도 공공버스부터 시범 적용한다고 21일 밝혔다. 생체신호 중 최고난도 영역으로 알려진 뇌파 측정 기술을 자동차 분야에 적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엠브레인은 이어셋 형태의 센서가 운전자 귀 주변에 흐르는 뇌파를 감지해 운전자의 컨디션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스마트폰 앱과 연동해 운전자의 주의력이 떨어졌거나 이상 증세가 나타나면 시각(운전석 주위의 LED)과 촉각(진동 시트), 청각(헤드레스트 스피커) 등 다양한 감각기관에 경고하는 사고 저감기술이 적용됐다. 엠브레인의 핵심은 뇌파에서 나오는 정보를 분석해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소프트웨어 기술이다.
현대모비스는 뇌파 신호가 어떤 의미를 나타내는지 해석하기 위해 머신러닝을 활용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엠브레인은 운전자의 졸음운전이나 갑작스러운 건강 이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대형사고를 예방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현대모비스는 엠브레인을 경기도와 협업해 도내 공공버스에 시범 적용하고, 평가 과정을 거쳐 이를 확대할 방침이다. 엠브레인을 비롯한 다양한 바이오 헬스케어 기술을 대중교통에 우선 적용하고 공공안전 사업에도 이바지할 계획이다. 지자체와 운송업계 등과 협업해 버스와 상용차를 중심으로 실증작업을 확대하는 한편, 이를 통해 확보한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글로벌 차량용 헬스케어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을 추진한다.
차량용 헬스케어 시장은 완전자율주행 단계에서 차량 외부의 주행환경을 인지하는 것과 별도로 탑승객을 위한 각종 헬스케어와 엔터테인먼트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한층 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중 바이오 헬스케어 기술은 궁극적으로 뇌파와 다른 생체신호를 통합해 탑승객의 심리까지 파악하는 맞춤형 서비스로 발돋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컨대 탑승객의 생체신호를 인지해 휴식이 필요하면 인공지능(AI) 가상비서가 차량 내부를 수면 모드로 바꿔주는 방식이다. 탑승객의 건강이 위급한 상황에서는 가까운 응급실을 찾아 차량 스스로 도착하는 기술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정민 기자 jay@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