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인력 없는곳 자율 체크인
수기명부만 놓여있는 매장도
중구난방식 방역에 곳곳 불만
글·사진 = 이희권 기자
지난 3일 찾은 서울 용산구의 A대형쇼핑몰 입구. 업체 보안 직원이 이용객들에게 출입 전 QR코드 혹은 안심콜 체크인을 안내하고 있었다. 하지만 입구에서 불과 10여m 떨어진 다른 출입구 2곳에는 별도의 안내 인원이 배치되지 않은 채 수기명부 등만 놓여 있었다. 쇼핑몰을 찾은 시민 상당수가 출입 명부를 작성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해 매장에 들어갔다. 확인 절차가 느슨해지면서 체크인 없이 매장에 출입하는 이가 예상외로 많았다.
쇼핑몰 내부의 점포별 출입 명부 관리 체계도 제각각이었다. 같은 층에 있는 식당·카페 사이에서도 출입명부 작성 의무화 여부가 엇갈렸다. 점포 상당수가 출입 명부와 QR코드 장비를 가게 구석에 비치해둔 채 방문객을 확인하지 않았다. 같은 시설을 이용하더라도 누구는 출입명부를 이중, 삼중으로 등록하고, 누구는 한 번도 등록하지 않고서도 쇼핑몰을 활보할 수 있는 구조였다. 이날 매장을 찾은 한 방문객은 “대부분 대형 쇼핑시설 방문객이 여러 점포를 이용하지 않느냐”면서 “만원 버스와 지하철에서는 출입명부 관리조차 하지 않는 상황에서 정부가 무작정 모든 시민의 동선 추적만을 방역 목표로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7월 30일부터 유통산업발전법상 3000㎡ 이상인 대규모 점포는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이상일 때 안심콜과 QR코드 등으로 출입명부를 의무 관리하는 방안(동네 슈퍼와 전통 시장은 적용 대상 제외)을 시행했다. 이에 따라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대규모 점포의 출입명부 관리가 의무화됐다.
하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관리 인원 부족으로 이처럼 곳곳에서 방역 허점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대형쇼핑몰에 입점해 있는 점포마다 출입명부 작성 여부가 따로따로라는 불만까지 나오면서 방역 취지를 무색게 하고 있다. 대부분의 시민은 새로운 방역지침에 따르는 분위기였지만 보다 근본적이고 효율적인 방역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4일 신규 확진자(0시 기준)는 1725명으로 전날보다 523명 늘었다.
한편, 서울시는 백화점과 대형마트에 이어 편의점 종사자도 코로나19 백신 우선 접종 대상자에 포함하기로 했다. 이에 학원·운수업·택배 종사자 등 사회 필수인력과 백화점·대형마트·편의점 종사자들에게 백신이 우선 접종된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