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황정민은 영화 ‘인질’에서 납치당한 배우 황정민 역을 맡았다. 자기 자신을 연기하는 셈이다.
배우 황정민은 영화 ‘인질’에서 납치당한 배우 황정민 역을 맡았다. 자기 자신을 연기하는 셈이다.

■ ‘황정민 납치’ 영화 ‘인질’ 개봉… 필감성 감독의 ‘뒷얘기’

“범죄영화엔 재밌는 숨구멍 필요
에피소드 보유한 배우 있어야
황정민은 ‘부라더’ ‘드루와’ 등
널리 알려진 유행어가 많아
자연스럽고 익살스럽게 활용”

“배우 실제 캐릭터 대입시켜
극영화·장르 영화·다큐 영화
접점 찾아보자는 생각 많았다”


서울 시내 한복판에서 귀가 중이던 톱스타가 납치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18일 개봉하는 영화 ‘인질’(감독 필감성)은 이런 발칙한 상상이 그 출발선이다. 그리고 그 대상은 주연작으로 누적 관객 1억 명을 모은 ‘국민 배우’ 황정민이다. 황정민은 ‘인질’에서 자기 자신을 연기하는 셈이다. 신작 제작발표회를 마친 황정민이 홀로 귀가하던 중 시비를 거는 괴한들에게 납치되면서 사건이 시작된다.

이 영화의 서두는 황정민의 ‘밥상 소감’이 장식한다. 2005년 청룡영화상 시상식에서 남우주연상을 받은 후 “60명 정도 되는 스태프와 배우들이 그렇게 멋진 밥상을 차려놔요. 그냥 저는 맛있게 먹기만 하면 되거든요”라고 소감을 말하는 장면을 도입부에 배치해 마치 실제 상황을 담은 다큐멘터리 같은 뉘앙스를 풍긴다. 왜 이 장면이 시작이었을까? 이에 대해 연출을 맡은 필감성 감독은 “저는 단도직입적으로 시작하는 영화를 좋아한다. ‘인질’이 황정민의 이야기라는 선언으로 시작하고 싶었다”면서 “황정민 하면, ‘밥상 소감’이 상징적인 장면으로 떠올랐고 다른 제작진도 동의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배우가 납치된 긴박한 상황 속에서도 ‘인질’은 곳곳에 웃음을 배치한다. 납치범 중 일부는 묶여 있는 그를 향해 “진짜 황정민이네” “팬이에요”라고 상황과 맞지 않지만 능히 그렇게 물을 법한 대사를 던진다. 영화 ‘신세계’ 속 그의 명대사인 ‘드루와∼ 드루와’ ‘헤이 부라더’ 등을 들려달라는 장면 또한 개연성 있게 전개된다. 이런 상황을 능청스럽게 연기하고, 의자에 묶인 상태에서 상반신만으로 모든 감정을 뿜어내는 황정민의 연기력 또한 일품이다.

필감성 감독
필감성 감독

필 감독은 “주인공이 영화에서 대부분 의자에 묶여 있는 채로 나오기 때문에 상반신만을 클로즈업해도 스펙터클하고 다양한 연기를 보여줄 수 있는 배우가 필요했고, 그렇기에 황정민일 수밖에 없었다”며 “범죄 액션 영화의 특성상 심각한 상황이 계속 이어지면 피로감이 올 수 있어 숨구멍이 돼 줄 에피소드를 보유한 배우가 필요했다. 황정민은 ‘부라더’ ‘드루와’와 같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유행어가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고 익살스럽게 활용할 수 있을 듯 싶었다”고 설명했다.

설정만 놓고 보면 ‘인질’은 황정민의 원맨쇼로 흐를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납치범 역을 맡은 신인 배우들인 김재범, 류경수, 정재원, 이규원, 이호정의 단단한 연기력이 빛을 발하며 황정민과 균형을 맞춘다. 어떤 상황에서도 무표정으로 일관하며 냉정함을 유지하는 리더 최기완(김재범 분)과 행동대장 역할을 하는 다혈질적인 2인자 염동훈(류경수 분)은 사뭇 다른 에너지를 뿜으며 납치범 집단 내 분란의 단초를 제공한다. 대중에게 얼굴이 알려지지 않은 배우들을 대거 캐스팅한 것은 유명한 배우가 황정민의 납치범으로 등장하는 순간, ‘실제 황정민이 납치됐다’는 긴장감이 한순간에 깨질 수 있다는 감독의 계산이 깔려 있다.

이 이야기의 시작은 실화다. 2004년 중국 배우 우뤄푸(오약보)가 납치된 사건이 벌어졌고, 이는 배우 류더화(유덕화) 주연 영화인 ‘세이빙 미스터 우’로 제작됐다. 황정민이 출연한 영화 ‘베테랑’·‘부당거래’의 제작사인 외유내강은 이 영화의 리메이크 판권을 구매한 직후부터 황정민을 주인공으로 염두에 두고 제작에 착수했다. 극 중 매니저를 퇴근시키고 혼자 귀가하거나 에코백을 메고 다니는 설정 모두 실제 황정민의 모습이다.

왜 실제 배우가 납치된다는 이야기를 다룬 것일까? 필 감독은 “납치를 소재로 한 스릴러는 새롭지 않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새로울 수 있을까’ 고민했다”면서 “배우의 실제 캐릭터를 대입시켜서 극 영화와 장르 영화, 다큐멘터리 영화의 접점을 찾아보자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래서 우리가 알고 있는 황정민이라는 캐릭터를 직접적으로 영화에 대입시켰다”고 연출 의도를 밝혔다.

94분. 15세 이상 관람가.

안진용 기자 realyong@munhwa.com
안진용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