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대통령선거 여론전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른바 정치·시사 유튜버의 주요 채널 구독자 수가 적게는 40만 명, 많게는 100만 명을 웃돌고 있다. 월 수익 1억 원을 웃도는 유튜버들도 등장했다. 언론인·국회의원 보좌진·검찰 수사관·정치평론가 등 다양한 출신의 채널 운영자들이 주로 기존 언론사 보도에 ‘구독자 맞춤형’ 해석을 가미한 콘텐츠를 내놓는 형식이 보편적이지만 특정 정파 논리를 뒷받침하는 콘텐츠 자체 제작에 나서기도 한다.
19일 유튜브 데이터 분석업체 ‘녹스 인플루언서’에 따르면 채널 분류 기준상 ‘뉴스·정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상위 50곳 중에서 언론사 공식 플랫폼을 제외한 채널 19곳 중 11곳이 국민의힘 등 야권, 5곳이 더불어민주당 등 여권 지지 성향을 나타냈다. ‘신의한수’(142만 명)의 월 수익 추정 범위는 1878만5600원에서 3267만2000원으로 추계됐다. 박근혜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성향이 뚜렷한 해당 채널은 같은 성향의 온라인 매체를 만들어 운영했던 신혜식 씨가 운영하고 있다.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을 보좌했던 배승희 변호사의 ‘배승희 변호사’(88만 명)는 최대 추정 수익이 1억1200만 원에 달했다.
친여 채널 중에서는 ‘팩트TV’(59만 명) 구독자 수가 가장 많았다. 1000만7700~1740만5700원 수익이 예상됐다. 이른바 ‘윤석열 X파일’ 문건 생산지로 알려진 바 있는 ‘열린공감TV’(45만 명)는 2558만9100~4450만3100원 등 수익 추산치를 보였다. 이들의 수익은 콘텐츠 신뢰성이 아니라 자극성에 비례한다. 시청 수와 시청자가 본인 댓글을 강조하는 데 돈을 내는 ‘슈퍼 챗’(Super Chat), 후원 등이 주 수입원이다. 주로 ‘게임’ 채널이 슈퍼 챗 상위권을 차지하는 세계 주요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강용석 변호사의 ‘가로세로연구소’(69만 명)가 1위에 오른 바 있다.
서종민·송정은 기자
19일 유튜브 데이터 분석업체 ‘녹스 인플루언서’에 따르면 채널 분류 기준상 ‘뉴스·정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상위 50곳 중에서 언론사 공식 플랫폼을 제외한 채널 19곳 중 11곳이 국민의힘 등 야권, 5곳이 더불어민주당 등 여권 지지 성향을 나타냈다. ‘신의한수’(142만 명)의 월 수익 추정 범위는 1878만5600원에서 3267만2000원으로 추계됐다. 박근혜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성향이 뚜렷한 해당 채널은 같은 성향의 온라인 매체를 만들어 운영했던 신혜식 씨가 운영하고 있다.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을 보좌했던 배승희 변호사의 ‘배승희 변호사’(88만 명)는 최대 추정 수익이 1억1200만 원에 달했다.
친여 채널 중에서는 ‘팩트TV’(59만 명) 구독자 수가 가장 많았다. 1000만7700~1740만5700원 수익이 예상됐다. 이른바 ‘윤석열 X파일’ 문건 생산지로 알려진 바 있는 ‘열린공감TV’(45만 명)는 2558만9100~4450만3100원 등 수익 추산치를 보였다. 이들의 수익은 콘텐츠 신뢰성이 아니라 자극성에 비례한다. 시청 수와 시청자가 본인 댓글을 강조하는 데 돈을 내는 ‘슈퍼 챗’(Super Chat), 후원 등이 주 수입원이다. 주로 ‘게임’ 채널이 슈퍼 챗 상위권을 차지하는 세계 주요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강용석 변호사의 ‘가로세로연구소’(69만 명)가 1위에 오른 바 있다.
서종민·송정은 기자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