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오전 서울 강서구 마곡동에 마련된 임시선별검사소 앞 대기용 천막 안에 주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빽빽이 줄지어 앉아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신창섭 기자
19일 오전 서울 강서구 마곡동에 마련된 임시선별검사소 앞 대기용 천막 안에 주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빽빽이 줄지어 앉아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신창섭 기자

■ 거리두기 또 연장될 듯

소상공인 “일방적 희생만 강요
정부 방역대책 신뢰도 바닥”
사적 모임만 죄는 방역에 한계
전문가 “접종자엔 기준 풀어야”


국내에서 역대 두 번째로 하루 2000명이 훌쩍 넘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쏟아지면서 이미 6주차에 접어든 수도권 4단계(비수도권 3단계·4주차) 등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재연장될 것이 확실한 상황이다. 게다가 민족 대명절인 추석 연휴가 당장 다음 달 18∼22일(주말 포함) 예정된 만큼 거리두기 연장 기간이 기존 2주보다 더 길어진 4주가 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두 달째 이어진 오후 6시 이후 3인 이상 집합금지 조치로 인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생존권에 위협을 받고 있어 갈수록 불만이 거세지고 있다.

19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등에 따르면 의료계와 경제·사회 부문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자문기구인 ‘생활방역위원회’가 현행 거리두기 단계를 그대로 유지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실제 전날 오후 열린 위원회 회의에 참석한 대다수 위원이 이 같은 입장에 동의를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위원들 사이에서는 이번 4차 대유행이 현실적으로 단기간 내 통제가 어려운 만큼 거리두기 연장 기간을 더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에 참석한 한 위원은 “다음 달 추석 연휴를 고려하면 현행 거리두기 조치가 4주간 연장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음 주부터 적용될 거리두기 조정안은 2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최종 결정된다.

이런 가운데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매번 강화되는 정부의 방역수칙을 잘 따랐는데도 일방적 희생만을 강요받고 있다”며 정부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고 있다. 서울 강남구에서 횟집을 운영하는 A 씨는 “2주간 가게 문을 닫았다가 최근 다시 열었는데, 사태가 진정되기는커녕 더 악화하고 있어 한숨만 나온다”며 “자영업자들 사이에서 이미 정부 방역 대책에 대한 신뢰도는 바닥을 치고 있다”고 말했다. 위원회에서는 “백신 접종자들에 한해 사적 모임 제한 기준을 풀어 자영업자들의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사망자가 13명이나 발생해 지난해 1월 말 15명 이후 567일 만에 최다 수치를 나타냈다. 지난주 전체 사망자(32명)의 40.6%에 달하는 규모다. 방역 당국 관계자는 최근 사망자 급증 상황과 관련해 “예방 접종률이 집단면역 수준에 오르지 못한 가운데 확진자 규모가 급증하면 위중증 환자나 사망자 수도 늘 수밖에 없다”며 “특히 젊은 층도 기저질환이 있으면 확진 시 치명적인 만큼 서둘러 백신 접종을 하고 거리두기 등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최준영 기자 cjy324@munhwa.com
최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