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중금속… 환경오염 유발
수명 2년… 年 10만개 배출 눈앞
처리 규정 없어 무단폐기 속출
“고물상도 안 가져가는 전기 오토바이 폐배터리가 환경재앙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6일 전기 이륜차 전문 수리업체인 ‘그린라이더’의 한국석(47) 대표는 “친환경이라는 이름으로 최근 전기 자동차와 전기 이륜차가 대세가 됐지만, 폐배터리 처리에 있어서 자동차와 달리 이륜차는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전기 이륜차·전동 킥보드 보급이 급증하고 있지만 전기차와 달리 폐배터리에 대한 처리 규정이 전혀 없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가 친환경을 내세우면서도 중금속이 다량 포함된 이들 수단의 폐배터리 문제는 사실상 방치하고 있어 되레 친환경 정책 취지에 역행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환경부 등에 따르면 국내 전기 이륜차 누적 대수는 2019년 1만7028대, 2020년 3만1221대, 올해 현재까지 3만6347대로 매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전동 킥보드의 경우 아직 정확한 공식 통계가 없지만, 서울의 공유 전동 킥보드 운행 대수는 2018년 150여 대에서 올해는 지난 7월 기준 5만7300여 대로 큰 폭으로 늘었다. 배터리 수명이 2년 정도임을 고려하면, 머지않아 매년 10만 개가 훌쩍 넘는 폐배터리가 쏟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정부에서 관리하는 전기차 배터리와 달리 전기 이륜차 등의 배터리는 사후 처리 규정이 아직 전무해 관련 업체의 자율적 처리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적지 않은 업체들이 리튬 배터리 등을 종량제 봉투에 넣어 무단폐기하는 일도 잦다는 전언이다. 다수 전문가는 “리튬·크롬 등 중금속이 다량 포함된 폐배터리 문제를 외면할 경우 심각한 토양·수질오염이 유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환경부는 전기차 폐배터리와 관련, ‘미래 폐자원 거점 수거센터’를 본격 가동했지만, 전기 이륜차 등은 이 같은 관리 대상에서도 빠져 있는 상황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전기 이륜차 배터리에 대해 별도의 제도를 도입해 관리할 필요가 있는지 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최준영 기자 cjy324@munhwa.com
수명 2년… 年 10만개 배출 눈앞
처리 규정 없어 무단폐기 속출
“고물상도 안 가져가는 전기 오토바이 폐배터리가 환경재앙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6일 전기 이륜차 전문 수리업체인 ‘그린라이더’의 한국석(47) 대표는 “친환경이라는 이름으로 최근 전기 자동차와 전기 이륜차가 대세가 됐지만, 폐배터리 처리에 있어서 자동차와 달리 이륜차는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전기 이륜차·전동 킥보드 보급이 급증하고 있지만 전기차와 달리 폐배터리에 대한 처리 규정이 전혀 없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가 친환경을 내세우면서도 중금속이 다량 포함된 이들 수단의 폐배터리 문제는 사실상 방치하고 있어 되레 친환경 정책 취지에 역행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환경부 등에 따르면 국내 전기 이륜차 누적 대수는 2019년 1만7028대, 2020년 3만1221대, 올해 현재까지 3만6347대로 매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전동 킥보드의 경우 아직 정확한 공식 통계가 없지만, 서울의 공유 전동 킥보드 운행 대수는 2018년 150여 대에서 올해는 지난 7월 기준 5만7300여 대로 큰 폭으로 늘었다. 배터리 수명이 2년 정도임을 고려하면, 머지않아 매년 10만 개가 훌쩍 넘는 폐배터리가 쏟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정부에서 관리하는 전기차 배터리와 달리 전기 이륜차 등의 배터리는 사후 처리 규정이 아직 전무해 관련 업체의 자율적 처리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적지 않은 업체들이 리튬 배터리 등을 종량제 봉투에 넣어 무단폐기하는 일도 잦다는 전언이다. 다수 전문가는 “리튬·크롬 등 중금속이 다량 포함된 폐배터리 문제를 외면할 경우 심각한 토양·수질오염이 유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환경부는 전기차 폐배터리와 관련, ‘미래 폐자원 거점 수거센터’를 본격 가동했지만, 전기 이륜차 등은 이 같은 관리 대상에서도 빠져 있는 상황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전기 이륜차 배터리에 대해 별도의 제도를 도입해 관리할 필요가 있는지 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최준영 기자 cjy324@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