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왜 제보했는지 짐작 가능
밝히면 어떤 세력인지 알것”
전여옥 “침묵하는자가 범인”
제보자로 5∼6명 거론돼
그중 한명은 대선캠프 활동
김웅 국민의힘 의원이 7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고발 사주’ 의혹 제보자와 관련해 “누구인지 알고 있다”고 밝힌 데 대해 당 안팎에서 “신원을 공개해야 한다”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김 의원은 이날 문화일보와의 통화 등에서 “(제보자가 누구인지) 밝혀지는 순간 어떤 세력인지 알게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업무상 알게 됐던 사람”이라면서 “선거운동 와중 들어왔던 제보를 건넸던 사람은 딱 한 분”이라고 했다. 인터넷매체 ‘뉴스버스’로 해당 의혹을 제보한 측 신원을 파악하고 있다는 취지다. 당내에선 당시 김 의원과 친분이 있거나 당 법률자문단과 관련된 인사 5∼6명이 ‘제보자’로 거론되고 있다. 이 중 한 명은 “전혀 상관없는 사람인데 제보자로 몰려 괴롭다. 차라리 제보자를 밝히는 게 모두를 위해 나은 일”이라고 말했다. 현재 당내 대선후보 캠프에서 일하고 있다는 전언도 있다.
의혹이 제기된 이후 김 의원은 이 제보자에게 따로 연락하지는 않았다고 했다. 현직 의원의 압력으로 비칠 수 있다는 이유 등에서다. 김 의원은 제보 의도에 대해서도 “짐작이 된다”며 “그것만을 갖고 지금 바로 이야기하기는 어렵다”고도 했다. 이와 관련 당내에서는 김 의원이 제보자 신원 보호에 나설 명분이 약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제보자를 밝혀 의혹 해소에 나서는 편이 김 의원으로서 의심을 벗는 방법”이라며 “파편적 추정만 공개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전여옥 전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의원도 전날 페이스북에서 “‘침묵하는 자가 범인이다’는 말이 딱 맞는 일이 한국 정치판에서 일어났다”고 지적하며 김 의원이 고발장이 어떤 경로와 목적으로 뉴스버스에 들어갔는지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전 총장 측에서도 제보자 등 사건경위에 대해 김 의원이 소상히 밝힐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김 의원은 자신과의 통화 내용을 뉴스버스 측이 왜곡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느닷없이 최강욱 열린민주당 의원 고발장 얘기를 해서 내가 초안을 잡았던 그 고발장을 가리키는 줄로 알았다”며 “나중에 실제 (최 의원에 대한) 고발장은 뉴스버스 측이 공개한 것을 보고 알았다”고 했다. 양측이 서로 다른 고발장을 염두에 두고 통화를 했었다는 취지다.
서종민·이후민 기자
밝히면 어떤 세력인지 알것”
전여옥 “침묵하는자가 범인”
제보자로 5∼6명 거론돼
그중 한명은 대선캠프 활동
김웅 국민의힘 의원이 7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고발 사주’ 의혹 제보자와 관련해 “누구인지 알고 있다”고 밝힌 데 대해 당 안팎에서 “신원을 공개해야 한다”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김 의원은 이날 문화일보와의 통화 등에서 “(제보자가 누구인지) 밝혀지는 순간 어떤 세력인지 알게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업무상 알게 됐던 사람”이라면서 “선거운동 와중 들어왔던 제보를 건넸던 사람은 딱 한 분”이라고 했다. 인터넷매체 ‘뉴스버스’로 해당 의혹을 제보한 측 신원을 파악하고 있다는 취지다. 당내에선 당시 김 의원과 친분이 있거나 당 법률자문단과 관련된 인사 5∼6명이 ‘제보자’로 거론되고 있다. 이 중 한 명은 “전혀 상관없는 사람인데 제보자로 몰려 괴롭다. 차라리 제보자를 밝히는 게 모두를 위해 나은 일”이라고 말했다. 현재 당내 대선후보 캠프에서 일하고 있다는 전언도 있다.
의혹이 제기된 이후 김 의원은 이 제보자에게 따로 연락하지는 않았다고 했다. 현직 의원의 압력으로 비칠 수 있다는 이유 등에서다. 김 의원은 제보 의도에 대해서도 “짐작이 된다”며 “그것만을 갖고 지금 바로 이야기하기는 어렵다”고도 했다. 이와 관련 당내에서는 김 의원이 제보자 신원 보호에 나설 명분이 약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제보자를 밝혀 의혹 해소에 나서는 편이 김 의원으로서 의심을 벗는 방법”이라며 “파편적 추정만 공개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전여옥 전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의원도 전날 페이스북에서 “‘침묵하는 자가 범인이다’는 말이 딱 맞는 일이 한국 정치판에서 일어났다”고 지적하며 김 의원이 고발장이 어떤 경로와 목적으로 뉴스버스에 들어갔는지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전 총장 측에서도 제보자 등 사건경위에 대해 김 의원이 소상히 밝힐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김 의원은 자신과의 통화 내용을 뉴스버스 측이 왜곡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느닷없이 최강욱 열린민주당 의원 고발장 얘기를 해서 내가 초안을 잡았던 그 고발장을 가리키는 줄로 알았다”며 “나중에 실제 (최 의원에 대한) 고발장은 뉴스버스 측이 공개한 것을 보고 알았다”고 했다. 양측이 서로 다른 고발장을 염두에 두고 통화를 했었다는 취지다.
서종민·이후민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