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차별화 보다 계승에 무게
야권 ‘정권 심판론’위력 주목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몇 달째 40% 안팎을 유지하면서 정치권에서는 내년 3월 대통령 선거 때까지 지지율이 현 수준을 이어갈 거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사실상 레임덕(권력 누수 현상) 없이 치러지는 대선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이 경우 여권에서는 현 정부와의 차별화보다는 ‘계승’에 무게중심이 쏠리고, 야권이 대선 때 내세우는 전가보도인 ‘정권심판론’의 위력도 다소 반감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권 관계자는 9일 문화일보와의 통화에서 “최소한의 국정 운영 동력을 위한 지지율 유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문 대통령은 임기 말까지 30% 이상의 지지율은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리얼미터의 지난 6일 조사에서 문 대통령의 9월 첫째 주 지지율은 41.7%로 나타났고, 8월 1주차부터 5주째 41∼42% 사이의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다.
리얼미터와 함께 매주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도를 조사해 온 갤럽 조사에서도 같은 기간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36∼41%로 40% 안팎의 지지율을 이어갔다. 여권의 대선 경선이 본격화되면서 차기 후보들이 문 대통령과 각을 세우고, 서울·부산시장 보궐 선거 후 야권의 정권심판론이 힘을 받으면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하락할 것이라는 당초 예측과 달리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안정적인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우선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되면서 ‘대통령을 흔들면 안 된다’는 인식이 깔려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방역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염두에 두고 여론이 현 정권에 힘을 실어 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문 대통령의 열성 지지층의 존재도 안정적 지지율의 배경이다. 김형준 명지대 인문교양학부 교수는 “야당 대권 후보들이 새 정부의 비전과 정책을 제시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고 있다”며 “정권에 대한 견제와 감시의 역할을 해야 할 야당과 시민단체, 언론의 힘도 예전만 못하다”고 분석했다. 여권 내 지지율 1위를 달리는 이재명 경기지사 역시 문 대통령에 대한 비판과 차별화에 힘을 싣고 있지는 않은 상황이다. 한 여권 관계자는 “측근이나 친인척이 뇌물을 받거나 형사처벌을 받는 등 권력형 비리가 존재하지 않는 것도 지지율 유지의 배경”이라고 밝혔다.
민병기 기자 mingming@munhwa.com
야권 ‘정권 심판론’위력 주목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몇 달째 40% 안팎을 유지하면서 정치권에서는 내년 3월 대통령 선거 때까지 지지율이 현 수준을 이어갈 거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사실상 레임덕(권력 누수 현상) 없이 치러지는 대선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이 경우 여권에서는 현 정부와의 차별화보다는 ‘계승’에 무게중심이 쏠리고, 야권이 대선 때 내세우는 전가보도인 ‘정권심판론’의 위력도 다소 반감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권 관계자는 9일 문화일보와의 통화에서 “최소한의 국정 운영 동력을 위한 지지율 유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문 대통령은 임기 말까지 30% 이상의 지지율은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리얼미터의 지난 6일 조사에서 문 대통령의 9월 첫째 주 지지율은 41.7%로 나타났고, 8월 1주차부터 5주째 41∼42% 사이의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다.
리얼미터와 함께 매주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도를 조사해 온 갤럽 조사에서도 같은 기간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36∼41%로 40% 안팎의 지지율을 이어갔다. 여권의 대선 경선이 본격화되면서 차기 후보들이 문 대통령과 각을 세우고, 서울·부산시장 보궐 선거 후 야권의 정권심판론이 힘을 받으면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하락할 것이라는 당초 예측과 달리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안정적인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우선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되면서 ‘대통령을 흔들면 안 된다’는 인식이 깔려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방역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염두에 두고 여론이 현 정권에 힘을 실어 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문 대통령의 열성 지지층의 존재도 안정적 지지율의 배경이다. 김형준 명지대 인문교양학부 교수는 “야당 대권 후보들이 새 정부의 비전과 정책을 제시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고 있다”며 “정권에 대한 견제와 감시의 역할을 해야 할 야당과 시민단체, 언론의 힘도 예전만 못하다”고 분석했다. 여권 내 지지율 1위를 달리는 이재명 경기지사 역시 문 대통령에 대한 비판과 차별화에 힘을 싣고 있지는 않은 상황이다. 한 여권 관계자는 “측근이나 친인척이 뇌물을 받거나 형사처벌을 받는 등 권력형 비리가 존재하지 않는 것도 지지율 유지의 배경”이라고 밝혔다.
민병기 기자 mingming@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