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개 지역서 건설 촉구 확산

“중·남부내륙철도 사이 지점
이 구간 빼면 허리 끊는 형국
연결돼야 지역균형발전 도움”

1인시위·주민 24만명 탄원서
올 연말까지 예타 통과에 사활


상주=박천학 기자

경북 상주에서 문경∼상주∼김천 고속화 철도건설사업(73㎞) 추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드세게 일고 있다. 강영석 상주시장을 비롯한 각계각층의 시위에 인근 문경과 김천지역 기관·단체 대표 등이 가세하는 등 갈수록 확산하고 있다. 이 구간은 완공을 앞둔 중부내륙철도(경기 이천∼충북 충주∼문경, 94.8㎞)와 내년에 착공되는 남부내륙철도(김천∼경남 거제, 181.6㎞) 중간에 있으며 오는 12월 예비타당성조사(예타) 결과가 나온다. 주민들은 “이 구간을 건설해야 중·남부내륙철도가 단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역균형발전으로 지방 소멸 위기도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며 예타 통과에 사활을 걸고 있다.

5일 상주시에 따르면 강 시장이 지난달 14일 예타를 하는 세종시 한국개발연구원(KDI) 앞에서 문경∼상주∼김천 철도 건설을 촉구하는 1인 피켓 시위를 한 데 이어 김진욱·김영선 경북도의원, 권택형 상주상공회의소 회장, 정재현 상주시의회 의장 등이 릴레이로 바통을 이어받았다. 또 고윤환 문경시장과 김충섭 김천시장 등 문경·김천지역 기관과 각종 단체 대표도 동참하고 있다. 이들 3개 지역 주민 31만 명 중 79%인 24만4000여 명은 이 구간 건설 촉구 탄원서를 정부에 제출했다.

KDI는 이 구간에 대해 2019년 5월 예타를 시작했으며 당초 지난해 말보다 1년 늦은 오는 12월 완료할 예정이다. 예타는 경제성·정책성·지역균형발전 등을 고려해 진행되며 경제성 문제가 발목을 잡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주시 관계자는 “남부내륙철도도 경제성 논란이 있었지만, 정부는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2019년 예타를 면제했다”면서 “수도권을 제외하면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은 대부분 경제성이 낮기 때문에 오히려 지역균형발전을 비중 있게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 관계자는 “중·남부내륙철도로 구분해 우리 지역을 빼고 건설하면 철도의 허리를 끊어놓는 형국”이라면서 “문재인 정부와 내년 대선 주자들이 역설하는 지역균형발전을 역행하는 대표적인 사례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부내륙철도는 2014년 착공됐으며 오는 2023년 개통한다. 남부내륙철도는 내년에 착공해 2028년 완공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수서에서 이천까지는 이미 철도가 운행하고 있어 상주를 중심으로 끊어진 철도를 연결하면 국토를 종단하는 완전한 형태의 철도가 생기고 서울 시민들은 거제까지 원스톱으로 오갈 수 있다. 또 낙후한 경북 서북부 경제도 활성화할 수 있다는 게 상주시의 설명이다.

강 시장은 “교통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은 기업 활동 위축은 물론, 인구도 유출돼 소멸이 가속화할 것”이라며 “지역 생존을 위해 이 구간은 반드시 건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천학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