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전세차 올해 상반기 4억4748만 원
문재인 정부 5년 차 들어 서울 아파트 전세 세입자가 매매로 내 집을 마련하려면 평균 4억4000만 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 정부 출범 당시보다 2.7배 늘었다.
12일 한국부동산원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상훈(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2017년 6월~2021년 6월간 서울 아파트 시세 현황’에 따르면 올해 6월 현재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시세와 전세시세 차이가 4억4748만 원에 달했다.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타기 위해서는 평균 4억4000여 만 원의 비용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문재인 정부가 시작된 2017년 6월엔 시세 차가 1억 원대 중반(1억6691만 원)에 불과했으나 ▲2018년 6월 2억4567만 원 ▲2019년 6월 3억1946만 원 ▲2020년 6월 4억1717만 원 ▲2021년 6월 4억4748만 원으로 해마다 증가했다. 문 정부 5년간 전세입자의 내 집 마련 비용이 2.7배나 늘어난 셈이다.
자치구 중 매매·전세 시세 차이가 가장 큰 곳은 강남구로, 2021년 6월 현재 9억1064만 원에 달했다. 다음으로 ▲용산구 8억1625만 원▲서초구 7억9122만 원▲송파구 6억2048만 원▲성동구 6억1961만 원 순이었다. 이외에도 ▲영등포구 ▲양천구 ▲동작구 ▲마포구 등도 평균 4억 원 이상의 매입 비용이 필요했다.
2017년 6월 당시 전체 25개 자치구 중 매매 갈아타기 비용이 1억 원 미만인 곳은 11곳이었으나 5년여가 지난 현재 1억 미만인 자치구는 단 한 곳도 없었다. 서대문구는 매매·전세 차이가 8939만 원에서 3억4699만 원으로 급증했고 7252만 원이었던 노원구도 2억8757만 원으로 올라섰다. 6710만 원으로 격차가 가장 적었던 구로구 역시 집을 사기 위해서는 2억 원 이상(2억5667만 원)이 필요했다.
김 의원은 “5년여 전만 해도 서울에서 전세로 살면서 1억 원만 모으면 내 집 마련이 가능했다”며 “최소한의 희망을 가질 수 있었던 세상이 문재인 정부 실정으로 망가졌다”고 우려했다.
황혜진 기자
문재인 정부 5년 차 들어 서울 아파트 전세 세입자가 매매로 내 집을 마련하려면 평균 4억4000만 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 정부 출범 당시보다 2.7배 늘었다.
12일 한국부동산원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상훈(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2017년 6월~2021년 6월간 서울 아파트 시세 현황’에 따르면 올해 6월 현재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시세와 전세시세 차이가 4억4748만 원에 달했다.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타기 위해서는 평균 4억4000여 만 원의 비용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문재인 정부가 시작된 2017년 6월엔 시세 차가 1억 원대 중반(1억6691만 원)에 불과했으나 ▲2018년 6월 2억4567만 원 ▲2019년 6월 3억1946만 원 ▲2020년 6월 4억1717만 원 ▲2021년 6월 4억4748만 원으로 해마다 증가했다. 문 정부 5년간 전세입자의 내 집 마련 비용이 2.7배나 늘어난 셈이다.
자치구 중 매매·전세 시세 차이가 가장 큰 곳은 강남구로, 2021년 6월 현재 9억1064만 원에 달했다. 다음으로 ▲용산구 8억1625만 원▲서초구 7억9122만 원▲송파구 6억2048만 원▲성동구 6억1961만 원 순이었다. 이외에도 ▲영등포구 ▲양천구 ▲동작구 ▲마포구 등도 평균 4억 원 이상의 매입 비용이 필요했다.
2017년 6월 당시 전체 25개 자치구 중 매매 갈아타기 비용이 1억 원 미만인 곳은 11곳이었으나 5년여가 지난 현재 1억 미만인 자치구는 단 한 곳도 없었다. 서대문구는 매매·전세 차이가 8939만 원에서 3억4699만 원으로 급증했고 7252만 원이었던 노원구도 2억8757만 원으로 올라섰다. 6710만 원으로 격차가 가장 적었던 구로구 역시 집을 사기 위해서는 2억 원 이상(2억5667만 원)이 필요했다.
김 의원은 “5년여 전만 해도 서울에서 전세로 살면서 1억 원만 모으면 내 집 마련이 가능했다”며 “최소한의 희망을 가질 수 있었던 세상이 문재인 정부 실정으로 망가졌다”고 우려했다.
황혜진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