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7월 기준 月점유율 35%
단일 국가로는 최고치 기록
‘코인 규제’ 中, 0%대로 급락
미국이 사상 처음으로 중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의 비트코인 채굴지가 됐다. 중국이 가상화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채굴 천국’이었던 중국의 점유율이 0%대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경제매체 CNBC는 13일 케임브리지대 대안금융센터(CCAF)의 ‘비트코인 채굴 지도’ 자료를 인용해 “지난 7월 기준으로 미국의 비트코인 월평균 해시레이트(채굴 능력 측정에 쓰이는 지표) 점유율이 35.4%로 집계되면서 단일 국가로는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9월에 비해 428%나 증가한 것이다. 점유율 2위는 18.1%의 카자흐스탄이었으며, 중국 점유율은 0%대로 급락했다. 지난 5월까지만 해도 중국의 점유율이 34.3%였던 반면, 미국은 21.8%였다.
특히 지난해 7월의 경우 중국의 점유율은 66.9%로, 불과 4.2%였던 미국을 크게 앞섰는데 1년 만에 전세가 역전된 셈이다.
이 같은 대대적 변화는 올봄부터 시작된 중국의 가상화폐 규제와 채굴 금지 단속 조치 때문이다. 채굴업자들이 대규모로 중국을 떠나는 ‘이주’가 시작됐고, 상당수가 미국에 정착했다. 특히 전기료가 싼 텍사스주는 새로운 성지가 되고 있다. 산유지인 데다,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도 풍부한 곳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풍부한 원전 에너지도 채굴에 필요한 안정적 전기 공급에 일조하고 있다. 또 가상화폐에 친화적인 정책 환경과 채굴을 쉽게 할 수 있는 정보기술(IT) 인프라도 잘 갖춰져 있다.
임정환 기자 yom724@munhwa.com
단일 국가로는 최고치 기록
‘코인 규제’ 中, 0%대로 급락
미국이 사상 처음으로 중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의 비트코인 채굴지가 됐다. 중국이 가상화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채굴 천국’이었던 중국의 점유율이 0%대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경제매체 CNBC는 13일 케임브리지대 대안금융센터(CCAF)의 ‘비트코인 채굴 지도’ 자료를 인용해 “지난 7월 기준으로 미국의 비트코인 월평균 해시레이트(채굴 능력 측정에 쓰이는 지표) 점유율이 35.4%로 집계되면서 단일 국가로는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9월에 비해 428%나 증가한 것이다. 점유율 2위는 18.1%의 카자흐스탄이었으며, 중국 점유율은 0%대로 급락했다. 지난 5월까지만 해도 중국의 점유율이 34.3%였던 반면, 미국은 21.8%였다.
특히 지난해 7월의 경우 중국의 점유율은 66.9%로, 불과 4.2%였던 미국을 크게 앞섰는데 1년 만에 전세가 역전된 셈이다.
이 같은 대대적 변화는 올봄부터 시작된 중국의 가상화폐 규제와 채굴 금지 단속 조치 때문이다. 채굴업자들이 대규모로 중국을 떠나는 ‘이주’가 시작됐고, 상당수가 미국에 정착했다. 특히 전기료가 싼 텍사스주는 새로운 성지가 되고 있다. 산유지인 데다,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도 풍부한 곳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풍부한 원전 에너지도 채굴에 필요한 안정적 전기 공급에 일조하고 있다. 또 가상화폐에 친화적인 정책 환경과 채굴을 쉽게 할 수 있는 정보기술(IT) 인프라도 잘 갖춰져 있다.
임정환 기자 yom724@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