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대장동 사건 수사에 대한 의문이 갈수록 증폭된다. 핵심 4인 중 한 명인 남욱 변호사가 18일 검찰에 체포됐지만, 성남시장실 압수수색 제외, 특수통 검사 수사팀 배제설 등 꼬리 자르기 행태가 노골화하기 때문이다.

검찰은 수사 착수 22일 만인 지난 15일 성남시청을 압수수색하면서 시장실과 시장부속실을 제외했다. 수색 대상으로 적시하지도 않았다. 시장은 개발사업 최종 인허가권자다. 지난달 29일 성남도시개발공사와 화천대유 등을 대상으로 실시된 압수수색 당시 성남시청이 포함돼 있었으나 수뇌부 지시로 제외됐다는 말까지 나온다.

이런 가운데 수사팀의 대표적 특수통 부부장 검사가 다른 사건을 함께 맡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검사는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영장에 서명한 검사로 수사를 주도해왔다.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 씨에 대한 졸속·부실 영장 청구에도 반대해 수뇌부와 갈등을 빚은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수사팀에 잔류하면서 다른 수사를 마무리하는 차원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여당 대선 후보 연루 의혹 사건임을 감안하면 궁색한 변명이다. 이러니 일선 검사들도 대부분 대장동 전담팀 참여를 거부한다고 한다. 검사조차 검찰 수사를 믿지 못하는 것이다.

이러다 보니 남 변호사 조사도 정해진 구도에 맞춰 진행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남 변호사는 대장동 개발 로비와 관련 2015년 구속된 전력이 있다. 대장동 개발이익이 현실화되던 2년여 전에 미국에 거주지를 마련해 가족들이 살고 있으며 미국 출국 전 회사 부동산을 담보로 120억 원 대의 자금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 변호사의 급거 귀국은 수사 수위를 예상했거나 모종의 사전 협의가 있기 때문이라는 관측도 나오는 이유다. 검찰은 남 변호사에 대해 사전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앞으로 며칠 동안의 수사가 정권의 하수인 여부를 가를 시금석이 될 것이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