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빼자니 ‘친문 결집’ 차질 우려

국회 국정감사를 마무리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경기지사)가 21일 본격적인 대선 행보에 돌입했다. 이 후보가 공식일정 없이 선거대책위원회 구상에 들어간 가운데 당 안팎에선 이해찬(사진) 전 대표 활용 방안을 놓고 고민하고 있다. 상임선거대책위원장 등 중책을 맡기자니 ‘상왕’ 논란을 피하기 어렵고, 뒤로 빼자니 친문(친문재인) 지지층 결집이 어려울 수 있다는 딜레마에 빠진 모습이다.

이 후보 측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선대위에서 이 전 대표가 어떤 역할을 맡아야 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경선 기간 캠프에선 이 후보의 가장 큰 약점으로 2017년 대선과 2018년 경기지사 경선을 거치며 생긴 친문 지지층과의 앙금을 꼽았다. 이를 풀기 위해 본선에서 이 전 대표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보고를 이 후보에게 직접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대표뿐 아니라 친노(친노무현)와 친문 원로들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구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전국 단위 선거를 치러 본 적이 없는 이 후보로서는 2002년과 2017년 두 번의 대선을 승리로 이끌며 ‘킹메이커’ 역할을 한 이 전 대표의 도움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 전 대표가 전면에 나설 때 생기는 역효과를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이 전 대표의 당내 역할이 막강한 만큼, ‘상왕’ 논란을 일으킬 수 있고 새로움과도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주를 이룬다. 오히려 2선에 머물며 결선투표 여부를 놓고 신경전을 펼쳤던 이 후보와 이낙연 전 대표의 관계를 회복하는 데 힘써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양 캠프에 몸담은 현역 의원 상당수가 이 전 대표 시절 공천을 받았다는 점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이유다.

이 후보 측은 이날도 이낙연 전 대표와의 면담 일정 조율을 이어갔다. 문재인 대통령과의 면담 전에 이 전 대표를 만나 ‘원팀’ 메시지를 내놓아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인 가운데 오는 23일 또는 24일 면담이 성사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후보 측 핵심 의원은 통화에서 “국감 이후 만나기로 했으니 늦어도 이번 주말엔 만나야 하지 않나 싶다”며 “문 대통령과의 회동은 무조건 청와대 일정에 맞춘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사퇴 시점은 이 후보와 민주당 지도부, 측근들의 의견이 모두 달라 다음 주로 미뤄질 전망이다. 이 후보는 전날(20일) “우리 도민들에게 설명할 시간이 필요하다”며 “업무보고서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던데 그 문제도 정리하려면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손우성·김수현 기자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