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량 급증하고 운임 강세에
대한항공, 영업익 2605억 전망
아시아나도 640억 호실적 예상
LCC들은 수백억대 적자 낼 듯


대형항공사(FSC)와 저비용항공사(LCC)의 실적 양극화 현상이 올해 3분기는 물론 4분기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화물운송으로 활로를 찾았다. 반면 LCC들은 수백억 원대 적자를 벗어나지 못할 처지다.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에 접어들었지만 제한적인 국제선 수요 증가, 유가 상승 등으로 4분기에도 이런 흐름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1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의 올해 3분기 항공업계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전망 평균치)에 따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양호한 실적이 예상된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3분기 대비 36.5% 늘어난 매출 2조1780억 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영업이익은 2605억 원으로 흑자 전환이 예상된다. 아시아나항공도 매출 1조750억 원, 영업이익 640억 원을 거둘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대비 각각 29.5%, 377.0% 늘어난 수치다.

FSC의 호실적은 최근 강세를 보이고 있는 항공화물 운임과 늘어난 화물량 때문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코로나19로 줄어든 여객 대신 화물 수송으로 사업의 무게중심을 옮겨 실적을 만회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 들어 세계 경기 회복과 코로나19 백신 보급의 영향으로 세계 물동량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홍콩~북미 노선 운임(TAC인덱스)은 지난 9월 1㎏당 10달러 선을 돌파했다.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인 지난해 1월(3.14달러)과 견줘 3배 이상 오른 수치다. 3분기 화물 매출 비중이 대한항공은 70% 이상, 아시아나항공은 60% 이상이 될 것으로 증권가는 전망하고 있다.

반면 LCC들은 3분기에도 수백억 원대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제주항공과 진에어는 각각 703억 원, 444억 원으로 영업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티웨이항공도 404억 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국제선 중단 및 국내선 공급 집중에 따른 경쟁 심화로 수익성이 악화한 탓이다. 일부 LCC는 화물 운송에도 나섰지만, 화물기가 없는 탓에 흑자 전환을 끌어낼 만한 수익은 얻지 못하고 있다.

4분기에도 흑자 전환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LCC 업계 관계자는 “동종 업계 경쟁이 치열하고, 국제선 여행 수요 회복도 기대보다 늦어질 것 같다”고 했다.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1월부터 위드 코로나가 본격화된 점은 긍정적이지만, 실제 손익에 반영되기까지는 시일이 걸린다”면서 “4분기에도 항공업계는 화물 실적만 양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황혜진 기자 best@munhwa.com
황혜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