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건(왼쪽부터) 외교부 1차관과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 모리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17일 미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외교차관협의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회의 후 예정됐던 한·미·일 공동기자회견은 무산됐다.  웬디 셔먼 트위터 캡처
최종건(왼쪽부터) 외교부 1차관과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 모리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17일 미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외교차관협의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회의 후 예정됐던 한·미·일 공동기자회견은 무산됐다. 웬디 셔먼 트위터 캡처
日, 경찰청장 독도방문 항의
양자회담서도 팽팽한 기싸움

워싱턴에서 양국 정면 충돌
대북정책 美와도 마찰 우려


김유진·김선영 기자 워싱턴=김남석 특파원

한국과 일본 외교차관이 1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한·미·일 외교차관협의회 후 공동으로 진행하려던 기자회견에 불참하며 양국 갈등이 격화되는 모습을 드러냈다. 한·일 외교차관은 이후 열린 양자 회담에서도 역사와 영토, 오염수 방류 등 현안을 둘러싸고 팽팽한 기싸움을 벌였다. 조 바이든 미 행정부 출범 이후 전통적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의 관계 개선에 주력 중이지만 미국 수도에서 한·일 양국이 갈등을 표출한 것이다. 문재인 정부 임기 중 한·일 관계 개선이 사실상 무산됨에 따라 대북 정책 등에서 한·미·일 3국 공조를 강조해온 미국과의 마찰도 우려된다.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은 이날 주미대사관에서 특파원 간담회를 하고 공동 기자회견 무산 배경에 대해 “일본 측이 우리 경찰청장 독도 방문 문제로 회견에 참여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전달해왔다”고 밝혔다. 최 차관은 “일본 측이 이러한 입장을 한·미·일 외교차관 회담 전 전달해왔다”며 “우리는 개최국인 미국이 단독 회견을 통해 한·미·일 차관협의의 결과를 공개하는 데 동의했다”고 말했다. 당초 국무부는 3국 차관이 공동으로 기자회견을 한다고 공지했지만 실제 회견장에는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 혼자 등장했다. 셔먼 부장관은 “일본과 한국 사이에 계속 해결돼야 할 일부 양자 간 이견이 있었다”면서 한·일 갈등이 원인임을 밝혔다.

한·일은 양국 차관회담에서도 냉랭한 분위기를 이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외교부는 18일 회담 후 보도자료에서 “모리 다케오(森健良) 차관의 독도 관련 일본 입장에 대해 최 차관은 독도에 대한 일본의 어떠한 주장도 수용할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며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후쿠시마(福島) 원전 오염수 등 사안에 대한 우리 측 입장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일본은 문재인 정부가 추진 중인 종전선언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다.

일본 언론들은 공동기자회견 무산과 관련해 “악화한 한·일 관계가 3국 간 연계 강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마이니치(每日)신문은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한·미·일 3국 협의 직전인 16일 한국 경찰청장이 다케시마(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 명칭)에 상륙하자 일본 정부가 항의했으며, 한·일 간 대립이 부각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동회견에 불참했다”고 전했다.

한편 일본 도쿄(東京)전력은 현재 추진 중인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가 환경이나 인간에 미치는 영향이 ‘극히 경미하다’는 자체 평가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김선영
김남석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