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6일 워싱턴DC 백악관의 이스트룸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더 나은 재건’ 법안의 통과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인슐린 등 주요 약값의 가격 인하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6일 워싱턴DC 백악관의 이스트룸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더 나은 재건’ 법안의 통과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인슐린 등 주요 약값의 가격 인하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中 인권 이유 “선수단만 파견”
9일 민주정상회의 앞두고 발표
뉴질랜드 동참…英·加·濠 검토


워싱턴=김남석 특파원, 민병기 기자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6일(현지시간) 중국의 신장(新疆)·홍콩 등에서의 인권 탄압을 이유로 내년 2월 베이징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방침을 공식 발표했다. 뉴질랜드도 이날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했다. 오는 9∼10일 바이든 행정부가 주최하는 ‘민주주의 정상회의’에서 영국·캐나다·호주 등도 보이콧을 선언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점쳐진다. 이에 대해 문재인 정부는 아직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지만, 베이징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한 종전선언 추진 등에 차질이 예상된다.

젠 사키 미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바이든 행정부는 2022년 베이징동계올림픽·패럴림픽에 어떤 외교나 공식 대표단도 보내지 않을 것”이라며 외교적 보이콧 방침을 공식 발표했다. 외교적 보이콧은 선수단 참가는 허용하되 정부 대표단은 파견하지 않는 일종의 제재다. 사키 대변인은 외교적 보이콧 이유로 “중국의 신장에서의 계속되는 범죄와 제노사이드(대량학살) 등 인권 유린”을 거론하며 “우리는 중국의 팡파르(대대적 선전)에 기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인권 탄압을 내세워 베이징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공표함에 따라 오는 9∼10일 민주주의 정상회의에서도 동맹 및 파트너 국가들의 참여를 요청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동계올림픽에서 남북 또는 남·북·미·중 종전선언 발표를 추진했던 문재인 정부의 구상도 무산될 가능성이 커졌다. 주미 중국 대사관은 이날 이메일 성명을 통해 “미국의 보이콧은 가식적인 행동이자, 정치적 조작”이라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김남석
민병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