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일자리 8만 개 증가 그쳐·신규 일자리 대부분 중소기업
지난해 일자리가 1년 전보다 71만 개 늘었지만,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은 60세 이상 고령층 일자리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업이 사라지거나 사업 규모를 줄이면서 사라진 일자리는 263만 개에 달했다.
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일자리 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일자리는 2472만 개로 1년 전보다 71만 개(2.9%) 증가했다.
전체 일자리 가운데 임금 근로 일자리는 2023만 개(81.8%), 비임금 근로 일자리는 449만 개(18.2%)였다.
지속 일자리는 1865만 개(75.4%), 기업체 생성이나 사업 확장으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333만 개(13.5%), 퇴직·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274만 개(11.1%)로 각각 집계됐다.
지난해 기업체 폐업이나 사업 축소로 사라진 소멸 일자리는 263만 개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 일자리가 전년 대비 38만 개(10.7%) 증가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전체 일자리 증가분 가운데 절반 이상(53.5%)은 60세 이상 고령층 일자리였다.
50대 일자리는 18만 개(3.2%), 40대 일자리는 10만 개(1.6%) 늘면서 뒤를 이었다.
반면 30대 일자리는 6만 개(1.1%), 20대 일자리는 2만 개(0.5%) 늘면서 2030 전체 청년층 일자리는 전년 대비 8만 개 증가하는 데 그쳤다.
19세 이하 일자리는 전년 대비 3만 개(-18.8%) 감소했다.
전체 일자리 점유율은 40대(24.7%)가 가장 높았고 50대(23.7%), 30대(21.1%)의 순이었다.
근로자 평균 연령은 46.0세로 1년 전(45.6세)보다 0.4세 올라갔다.
지난해 전체 일자리 가운데 남성은 1423만 개(57.6%)를 점유해 여성(1049만 개·42.4%)의 1.4배에 달했다.
20대 이하에서는 남녀의 일자리 차이가 크지 않으나, 30대 이상에서는 남성 일자리 점유율이 58.6%에 달해 여성과 격차가 벌어졌다.
근속 기간별로는 1년 이상∼2년 미만 일자리가 551만 개(22.3%)로 가장 많았다. 1년 미만(18.1%), 2년 이상∼3년 미만(15.8%), 3년 이상∼5년 미만(15.4%)이 뒤를 이었다.
근속 기간 10년 이상∼20년 미만 일자리는 9.6%, 20년 이상 일자리는 5.1%에 그쳤다.
전체 일자리의 평균 근속 기간은 5.2년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대기업 일자리는 6만 개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중소기업은 45만 개 늘었다. 비영리 기업 일자리도 19만 개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신규 일자리(333만 개) 10개 중 8개(79.0%) 정도인 263만 개는 중소기업이 공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일자리 가운데서도 중소기업이 제공한 일자리(1547만 개)가 62.6%를 차지했다.
종사자 규모별로는 50명 미만 기업체 일자리가 31만 개 증가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다만 50명 미만 기업체 중 종사자가 1∼4명인 기업체 일자리는 전년보다 1만 개 감소했다.
제조업 일자리가 482만 개(19.5%)로 가장 많았고, 도·소매업 317만 개(12.8%),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226만 개(9.2%), 건설업 203만 개(8.2%) 순이었다.
소멸 일자리 가운데는 도·소매업이 43만 개(16.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조해동 기자
지난해 일자리가 1년 전보다 71만 개 늘었지만,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은 60세 이상 고령층 일자리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업이 사라지거나 사업 규모를 줄이면서 사라진 일자리는 263만 개에 달했다.
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일자리 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일자리는 2472만 개로 1년 전보다 71만 개(2.9%) 증가했다.
전체 일자리 가운데 임금 근로 일자리는 2023만 개(81.8%), 비임금 근로 일자리는 449만 개(18.2%)였다.
지속 일자리는 1865만 개(75.4%), 기업체 생성이나 사업 확장으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333만 개(13.5%), 퇴직·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274만 개(11.1%)로 각각 집계됐다.
지난해 기업체 폐업이나 사업 축소로 사라진 소멸 일자리는 263만 개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 일자리가 전년 대비 38만 개(10.7%) 증가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전체 일자리 증가분 가운데 절반 이상(53.5%)은 60세 이상 고령층 일자리였다.
50대 일자리는 18만 개(3.2%), 40대 일자리는 10만 개(1.6%) 늘면서 뒤를 이었다.
반면 30대 일자리는 6만 개(1.1%), 20대 일자리는 2만 개(0.5%) 늘면서 2030 전체 청년층 일자리는 전년 대비 8만 개 증가하는 데 그쳤다.
19세 이하 일자리는 전년 대비 3만 개(-18.8%) 감소했다.
전체 일자리 점유율은 40대(24.7%)가 가장 높았고 50대(23.7%), 30대(21.1%)의 순이었다.
근로자 평균 연령은 46.0세로 1년 전(45.6세)보다 0.4세 올라갔다.
지난해 전체 일자리 가운데 남성은 1423만 개(57.6%)를 점유해 여성(1049만 개·42.4%)의 1.4배에 달했다.
20대 이하에서는 남녀의 일자리 차이가 크지 않으나, 30대 이상에서는 남성 일자리 점유율이 58.6%에 달해 여성과 격차가 벌어졌다.
근속 기간별로는 1년 이상∼2년 미만 일자리가 551만 개(22.3%)로 가장 많았다. 1년 미만(18.1%), 2년 이상∼3년 미만(15.8%), 3년 이상∼5년 미만(15.4%)이 뒤를 이었다.
근속 기간 10년 이상∼20년 미만 일자리는 9.6%, 20년 이상 일자리는 5.1%에 그쳤다.
전체 일자리의 평균 근속 기간은 5.2년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대기업 일자리는 6만 개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중소기업은 45만 개 늘었다. 비영리 기업 일자리도 19만 개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신규 일자리(333만 개) 10개 중 8개(79.0%) 정도인 263만 개는 중소기업이 공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일자리 가운데서도 중소기업이 제공한 일자리(1547만 개)가 62.6%를 차지했다.
종사자 규모별로는 50명 미만 기업체 일자리가 31만 개 증가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다만 50명 미만 기업체 중 종사자가 1∼4명인 기업체 일자리는 전년보다 1만 개 감소했다.
제조업 일자리가 482만 개(19.5%)로 가장 많았고, 도·소매업 317만 개(12.8%),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226만 개(9.2%), 건설업 203만 개(8.2%) 순이었다.
소멸 일자리 가운데는 도·소매업이 43만 개(16.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조해동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