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직원이 30일부터 전국 18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과 권역별 대응센터 5곳에서 시작되는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판별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하루 앞두고 신속 확인용 시약을 확인하고 있다. 뉴시스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직원이 30일부터 전국 18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과 권역별 대응센터 5곳에서 시작되는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판별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하루 앞두고 신속 확인용 시약을 확인하고 있다. 뉴시스
보건소 등서 무작위 검체 선별
권역별센터·연구원에 보내 진단
아직 의뢰기준 지침 없어 혼란

PCR검사로 5개변이 동시판별
감염 판정 3∼4시간으로 단축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감염 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국내 개발 유전자증폭(PCR) 시약이 30일부터 방역 현장에서 본격 사용되면서 해당 시약 결과가 적용되는 31일 0시 기준 통계부터 국내 오미크론 확진자가 크게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오미크론의 전염력이 강한 데다 이미 지역사회에 퍼져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날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를 판별할 수 있는 PCR 시약은 권역별 대응센터 5곳·시도 보건환경연구원 18곳 등 전국 23개 기관에 배포돼 이날부터 실제 검사에 사용됐다. 민관 협력으로 개발된 이 PCR 시약을 사용하면 오미크론 변이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기존 3∼5일에서 3∼4시간으로 대폭 단축된다.

일선 보건환경연구원과 보건소들의 말을 종합하면, PCR 시약을 활용한 오미크론 변이 검사는 보건소에서 일부 검체를 채취해 연구원에 의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연구원에 보내진 검체는 1차적으로 기존 키트로 코로나19 음성과 양성 여부를 판별한 뒤, 양성이 나올 경우 새로운 시약으로 변이 검사를 추가로 수행하는 방식이다. 일선 보건소들은 이날부터 자체 기준에 따라 오미크론 확인용 검체를 선별해 보건환경연구원에 오미크론 변이 검사를 의뢰했다. 의뢰 대상은 해외입국자와 오미크론 확진자 접촉자, 또 이와 무관한 무작위 검사자도 검체를 의뢰할 예정이다. 미군 부대가 위치한 한 지방자치단체 보건소장은 “어떤 검체를 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해야 하는지 아직 정확한 지침이 내려오지 않았지만, 주변에 미군 부대가 위치해 오미크론 감염 위험도가 높은 만큼 오늘부터 2∼3일간 연구원에 검체를 의뢰할 계획”이라며 “우리는 일단 무작위로 검체를 골라 의뢰하려 한다”고 말했다. 다만, 새로운 검사 시약은 초기 물량이 많지 않아, 활발한 검사는 내년 1월 중순부터 가능할 전망이다. 한 지자체 연구원 관계자는 “제조사에서 한꺼번에 생산을 많이 할 수 없고 내년 1월 중순쯤에는 양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해 들었다”며 “현재로는 질병청이 일괄 구매해 배포한 물량만큼 검사를 시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0시 기준 전국에서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가 67명 추가돼 누적 감염자수가 625명으로 집계됐다. 최근 해외입국자 외에도 지역사회 내에서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오미크론 확진자가 나오면서 ‘n차 전파’가 본격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방역 당국은 새로운 PCR 검사 도입으로 변이 판별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오미크론 감염자수도 더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준영·김구철 기자

관련기사

최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