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검사의학회 “신속검사 우려”
의료단체들이 정부의 오미크론 대응을 위한 새 방역정책이 혼선을 빚자 동네 병·의원의 코로나19 진단 및 환자 치료 등에 대한 자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내놓고 있다. 일부 단체는 정부의 신속항원검사 전국확대는 정확한 진단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오히려 확진자를 양산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27일 대한의사협회는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 환자 동선 분리 및 환기 등 진료 참여 의원의 구체적인 운영 지침과 환자 관리 지침 등을 발표했다. 의사협회는 먼저 의원에 호흡기·발열환자와 일반환자의 분리를 위해 대기장소의 칸막이 등 물리적 구획을 시행하고, 이들이 이동하는 동선을 최소화할 것을 권고했다. 수액실, 주사실 등을 검체채취를 위한 별도 공간으로 활용하고 의료진은 반드시 4종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도록 했다.
또 의사협회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실시해 양성 반응이 나올 경우 자체적으로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하거나 PCR 검사가 가능한 선별진료소를 안내하고, 검사의뢰 전이라도 ‘사전중증판단’의 경우 즉각 보건소로 병상배정을 요청하도록 안내했다. 의사협회 관계자는 “의원들 사이에 참여 의사가 있더라도 정부의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없어 감이 잡히지 않는다는 민원이 있어 이를 돕고 혼란을 줄이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만든 것”이라며 “청소나 환기 등 세세한 부분도 의원들이 현장에서 바로 찾아 쓸 수 있는 지침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대한진단검사의학회는 전날 정부의 신속항원검사 활용 방안에 대해 우려를 표하는 입장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신속항원검사의 민감도가 낮기 때문에, 정부 계획과 반대로 “성능이 우수하지 못한 자가항원검사가 아닌 PCR 검사를 더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진단검사의학회는 이에 더해 항원검사를 할 경우 스스로 하는 것보다 호흡기클리닉 등에서 의료인이 시행하는 항원검사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지현 기자 loveofall@munhwa.com
의료단체들이 정부의 오미크론 대응을 위한 새 방역정책이 혼선을 빚자 동네 병·의원의 코로나19 진단 및 환자 치료 등에 대한 자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내놓고 있다. 일부 단체는 정부의 신속항원검사 전국확대는 정확한 진단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오히려 확진자를 양산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27일 대한의사협회는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 환자 동선 분리 및 환기 등 진료 참여 의원의 구체적인 운영 지침과 환자 관리 지침 등을 발표했다. 의사협회는 먼저 의원에 호흡기·발열환자와 일반환자의 분리를 위해 대기장소의 칸막이 등 물리적 구획을 시행하고, 이들이 이동하는 동선을 최소화할 것을 권고했다. 수액실, 주사실 등을 검체채취를 위한 별도 공간으로 활용하고 의료진은 반드시 4종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도록 했다.
또 의사협회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실시해 양성 반응이 나올 경우 자체적으로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하거나 PCR 검사가 가능한 선별진료소를 안내하고, 검사의뢰 전이라도 ‘사전중증판단’의 경우 즉각 보건소로 병상배정을 요청하도록 안내했다. 의사협회 관계자는 “의원들 사이에 참여 의사가 있더라도 정부의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없어 감이 잡히지 않는다는 민원이 있어 이를 돕고 혼란을 줄이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만든 것”이라며 “청소나 환기 등 세세한 부분도 의원들이 현장에서 바로 찾아 쓸 수 있는 지침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대한진단검사의학회는 전날 정부의 신속항원검사 활용 방안에 대해 우려를 표하는 입장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신속항원검사의 민감도가 낮기 때문에, 정부 계획과 반대로 “성능이 우수하지 못한 자가항원검사가 아닌 PCR 검사를 더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진단검사의학회는 이에 더해 항원검사를 할 경우 스스로 하는 것보다 호흡기클리닉 등에서 의료인이 시행하는 항원검사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지현 기자 loveofall@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