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서울 종로구의 한 이비인후과가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 및 일반 진료를 받기 위해 기다리는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연합뉴스
7일 서울 종로구의 한 이비인후과가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 및 일반 진료를 받기 위해 기다리는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연합뉴스

■ 나흘째 3만명대 확진 대혼란

10일부터 무증상자·경증환자
셀프관리 방역체계 전환 비상

집중관리군만 상태 모니터링
일반관리군 방치돼 우려 커져


“양성 판정을 받았는데도 방역당국에서 자세한 안내가 없어 불안하고 혼란스러워요. 몸 상태가 갑자기 나빠지면 어디로 연락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8일 서울 중구보건소로부터 유전자증폭(PCR) 검사 결과 코로나19 양성이 나왔다는 문자를 받은 30대 직장인 A(여) 씨는 치료방법과 대응요령 등 자세한 안내를 받기 위해 해당 보건소에 연락을 취했지만 별다른 답을 듣지 못했다. A 씨는 “중구보건소 직원이 ‘현재 거주지에 있는 강남보건소에서 자세한 안내를 받아야 한다. 다만 확진자가 폭증해 언제 연락을 해올지는 모르겠다’고 말하며 전화를 끊었다”며 당혹감을 호소했다. 이어 “당장 의료기관 정보를 어디서 얻어야 할지, 확진자가 외출할 때 어떻게 채비해야 할지, 건강이 악화하면 어떻게 조치해야 할지, 밀접접촉자는 어떻게 판단해야 할지 등에 대해 알 수 없어 불안감이 크다”고 토로했다. A 씨 지인은 확진 판정 뒤 3일 후에야 보건소로부터 연락을 받기도 했다.

오미크론 변이 대확산에 따라 오는 10일부터 코로나19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재택치료 환자는 스스로 챙겨야 하는 ‘셀프 관리’로 방역체계가 전환되면서 15만 명에 달하는 재택치료자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충분한 준비 기간 없이 국민 개개인의 책임을 강조하는 방식을 요구하는 만큼, 일반환자군 관리가 소홀해지고 현장 혼란만 가중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앞으로 재택치료 대상을 ‘집중관리군’과 ‘일반관리군’으로 분류해 집중관리군에 대해서만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정부가 모든 확진자를 관리해온 검사·추적·치료(3T) 시스템을 버리고 확진자 본인이 스스로 챙기도록 하는 것을 뼈대로 한다. 이에 따라 관리 사각지대에 놓일 수 있는 일반관리군 환자 치료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반관리군은 전화로 건강상태 모니터링을 하지 않고 집에서 격리생활을 하면서 스스로 건강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격리 중 증상이 악화하거나 진료가 필요할 경우 다니던 병·의원에 전화해 비대면 진료를 받거나 외래진료센터를 찾아 대면 진료를 받아야 한다. 밤에 갑자기 열이 나는 등 여러 문제가 생길 경우 재택관리지원 상담센터에 전화하면 된다. 약은 동거 가족이 수령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1인 가구는 보건소에서 배송을 지원한다.

그러나 현재 의료·행정적 부담 가중으로 확진자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상황에서 일반관리군 중 응급환자 대응이 제때 적절히 이뤄질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개인이 어떤 증상을 나쁜 징조로 봐야 할지 판단하기 어렵고, 1인 가구나 젊은 기저질환자는 위급 상황 시 즉각 연락·이송이 되지 않을 경우 사태가 심각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원칙적으로 확진자의 외출은 금지하나 개인의 양심에 기대 감시를 하지 않기 때문에 지금보다 더 빠른 확진자 증가가 나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재택치료자에게 여러 주의사항과 긴급 연락망 공지 등을 철저히 해야 심각한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준영 기자 cjy324@munhwa.com

관련기사

최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