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 교육부 사업에 반영
경남-광주·전남-충북서 시작
현재 울산-세종·충남으로 확산
1차 연도 경남 지역 446억중
라운지·연구실 개선 등 131억
2차 연도도 엉뚱한곳 사용 여전
창원=박영수 기자
기업이 요구하는 스마트 융복합 인재 양성을 목표로 추진된 교육부의 ‘지역혁신플랫폼’이 참여대학의 노후시설개선 지원사업으로 전락하고 있다. 선도지역인 경남의 경우 예산 대부분이 원격강의실 및 학생라운지 설치, 교수연구실 기자재 구입비, 교수 연구 지원에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경남도와 경상국립대 등에 따르면 경남지역혁신플랫폼(현 울산·경남지역혁신플랫폼)은 2020년 경상대를 총괄대학으로 창원대와 경남대, 경남도가 중심이 돼 출범했다. 이 사업은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낙후한 경남지역 공장을 빅데이터를 접목한 스마트공장으로 전환하면서 지역에서 정보통신기술(ICT) 인재를 구할 수 없게 되자 지역대학과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직접 양성하기 위해 정부에 제안한 것이 출발점이다.
지역혁신플랫폼은 2020년 교육부 사업에 반영돼 경남, 광주·전남, 충북에서 1차 연도 사업(2020년 6월∼2021년 5월·국비 1080억 원)이 시작됐다. 현재 울산, 세종·충남 등으로 확산해 2차 연도 사업(2021년 6월∼2022년 5월·국비 1710억 원)이 진행 중이고 올해 2개 플랫폼이 추가될 예정이다. 지역혁신플랫폼의 핵심은 기업이 요구하는 맞춤형 인재양성과 채용 연계다.
하지만 경남지역혁신플랫폼의 경우, 지원 예산을 총괄대학인 경상대가 직접 집행하고 스마트공동체(경상대)·스마트제조엔지니어링(창원대)·스마트제조ICT(경남대) 등 3개 중심대학 사업단에 직접 배분하면서 예산 대부분이 대학들의 노후 강의실 개선과 장비 구입, 교수 연구지원 등에 사용되고 있다.
1차 연도 경남 지역혁신플랫폼 예산은 총 446억 원(국비·도비 포함)으로 이 중 57억 원(12%)을 공유대학 학생라운지(4곳), 화상·원격강의실(35곳), 실험실(15곳) 등을 만든다며 썼다. 또 각 사업단은 ‘5년 이하 젊은 교수의 사기를 북돋는다’는 취지로 74억 원(16%)을 교수 연구실 개선비(3C 랩 구축·기업지원 공모과제 연구 인프라 구축비)로 배정했다. 선정된 교수 1명당 최대 2억 원이다. 문제는 2차 연도 예산도 여전히 시설과 시스템 구축, 연구실 개선에 대부분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총괄대학인 경상대와 참여대학은 2차 연도 예산의 21%(135억 원)를 또다시 대학별 학생라운지(2곳), 하이브리드 및 AR·VR강의실(18곳) 구축 등 시설 구축비로 책정했다. 특히 1차 연도 사업으로 경상대와 경남대·창원대에 공유대학 학생라운지를 구축했으나, 각각 3억 원가량을 들여 또 만들거나 부수고 새로 짓고 있다. 사업단에서는 이번에도 교수 연구실 연구장비 지원비(5C 랩 구축)로 63억 원을 책정했다.
참여대학 한 교수는 “지역혁신플랫폼 설립 목적에 맞게 기업들의 요구가 반영되고 기업이 직접 참여하는 코딩수업 등의 교과과정이 많아야 하는데, 노후시설 개선이나 장비 교체 등 기존 연구사업과 다를 바 없는 교수 연구지원에 예산이 쓰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