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부유·탄소중립·신형소비·무인경제·메타버스

올해 중국 소비시장을 선점하려면 ‘5C’에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공동부유(Common Prosperity), 탄소중립(Carbon Neutral), 신형 소비(New Consumption), 비대면 서비스(Contact-Free Service), 중국형 메타버스(China‘s Metaverse)이다.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는 14일 펴낸 ’2022년 중국 소비시장을 읽는 5가지 키워드, 5C‘ 보고서를 통해 “중국 소비시장이 지난해 코로나19에 따른 강력한 방역 대책으로 위축됐지만, 올해는 중국 정부의 소비 진작 정책으로 ’5C‘ 분야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공동부유는 중국 내 불평등 해결을 목표로 하는 국정 기조로 저소득층의 기본소비가 보장되면 일반 가구와 가전 등에 대한 소비가 늘어날 전망이다. 중국 정부가 지난 2020년 9월 ’2030년 탄소 피크, 206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한 이후 녹색 저탄소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점에서 탄소 중립도 주목해야 할 키워드다. 보고서는 자동차산업은 친환경 에너지 차 중심으로 한층 빠르게 전환되고, 다른 분야에서도 친환경 브랜드와 재활용 소비, 녹색 식품 등이 활성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온라인쇼핑을 포함한 신형소비는 온·오프라인 결합 인프라 확대, 라이브커머스 시장 확대 등으로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소비자와 제조상이 직접 제품을 사고파는 ’C2M‘(Customer to Manufacturer) 플랫폼 소비,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 세대)의 명품 및 애국 소비 등 새로운 유형의 소비도 등장하고 있다. 이 밖에 ▲서비스산업의 디지털화·무인화 가속에 따른 로봇, 원격의료 등 비대면·무인서비스 ▲하드웨어 발전 중심의 중국형 메타버스 등도 유망 분야로 꼽혔다.

황혜진 기자
황혜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