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중증 환자·사망자 큰 폭 증가
위중증 이달 1700~2750명 전망
중환자 병상 가동률 60% 목전
전문가들 “방역 완화 섣불렀다”
정부가 코로나19 감염 폭증세가 이어진 7일 “오미크론의 파고를 넘어가고 있다”며 낙관론을 보였지만, 전문가들은 유행 정점 규모가 정부 예측을 뛰어넘고, 정점에 머무는 기간도 길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최근 정부의 각종 방역지침 완화에 초·중·고교 개학 등의 변수가 감염 확산을 가속화하면서 3월 중순 전체 규모 외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수도 큰 폭 늘어나 의료체계에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7일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의 여파로 1000명에 가까운 위중증 환자가 발생했고 사망자도 연일 세 자릿수를 기록 중이다. 방역 당국과 국내 연구기관들은 위중증 환자 수가 이달 중 1700∼2750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여기에 정부의 위중증 환자 통계에 잡히지 않는 비호흡기 질환의 중증 환자들도 문제다. 이들까지 병상을 채우면서 이날 기준 코로나19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60%를 목전에 둔 59.8%까지 올랐다. 이런 상황에서도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은 회의 모두발언에서 “의료계와 방역요원들, 국민 여러분의 헌신과 협조 덕분에 오미크론의 파고를 넘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더욱이 의료 전문가들은 “정부의 섣부른 방역조치 완화로 확진자 정점 규모가 당초 예측치인 35만 명을 넘어 더욱 커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정기석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30만, 40만 명대 확진자가 나오는 고점 규모도 중요하지만 고점 전후의 20만 명대 확진자가 얼마나 오래갈 지도 중요하다”면서 오미크론 대유행의 장기화가 더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해 위드 코로나 중단 직전과 같은 위중증 환자 폭증과 병상 대란, 의료시스템 과부하 사태가 보름 안에 재연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영국, 미국 등에서 누적 확진자 비율이 20%가 넘은 다음 유행 규모가 감소했다는 면에서, 한국도 비슷한 과정이 필요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한편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폭증하면서 환자의 진료비, 치료비 지원을 격리해제 이후로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보호자들로 구성된 ‘코로나19위중증피해환자보호자모임’은 이날 오전 10시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는 치료비 폭탄을 환자와 보호자들에게 떠넘기지 말고 전액 지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인지현·최지영 기자
위중증 이달 1700~2750명 전망
중환자 병상 가동률 60% 목전
전문가들 “방역 완화 섣불렀다”
정부가 코로나19 감염 폭증세가 이어진 7일 “오미크론의 파고를 넘어가고 있다”며 낙관론을 보였지만, 전문가들은 유행 정점 규모가 정부 예측을 뛰어넘고, 정점에 머무는 기간도 길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최근 정부의 각종 방역지침 완화에 초·중·고교 개학 등의 변수가 감염 확산을 가속화하면서 3월 중순 전체 규모 외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수도 큰 폭 늘어나 의료체계에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7일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의 여파로 1000명에 가까운 위중증 환자가 발생했고 사망자도 연일 세 자릿수를 기록 중이다. 방역 당국과 국내 연구기관들은 위중증 환자 수가 이달 중 1700∼2750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여기에 정부의 위중증 환자 통계에 잡히지 않는 비호흡기 질환의 중증 환자들도 문제다. 이들까지 병상을 채우면서 이날 기준 코로나19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60%를 목전에 둔 59.8%까지 올랐다. 이런 상황에서도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은 회의 모두발언에서 “의료계와 방역요원들, 국민 여러분의 헌신과 협조 덕분에 오미크론의 파고를 넘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더욱이 의료 전문가들은 “정부의 섣부른 방역조치 완화로 확진자 정점 규모가 당초 예측치인 35만 명을 넘어 더욱 커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정기석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30만, 40만 명대 확진자가 나오는 고점 규모도 중요하지만 고점 전후의 20만 명대 확진자가 얼마나 오래갈 지도 중요하다”면서 오미크론 대유행의 장기화가 더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해 위드 코로나 중단 직전과 같은 위중증 환자 폭증과 병상 대란, 의료시스템 과부하 사태가 보름 안에 재연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영국, 미국 등에서 누적 확진자 비율이 20%가 넘은 다음 유행 규모가 감소했다는 면에서, 한국도 비슷한 과정이 필요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한편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폭증하면서 환자의 진료비, 치료비 지원을 격리해제 이후로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보호자들로 구성된 ‘코로나19위중증피해환자보호자모임’은 이날 오전 10시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는 치료비 폭탄을 환자와 보호자들에게 떠넘기지 말고 전액 지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인지현·최지영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