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역당국이 16일 0시 기준으로 발표한 신규 확진자 수가 전날 밤 각 시도에서 자체 집계한 잠정 수치와 큰 차이가 나면서 혼선이 일었다.
전국 17개 시도에서 전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집계한 신규 확진자 수는 44만1천423명으로, 집계를 마감하는 자정까지의 증가분까지 고려하면 최종 수치는 40만명 중후반대까지 치솟을 것으로 예상됐었다.
하지만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가 16일 오전 발표한 신규 확진자 수는 40만741명으로, 전날 9시까지의 잠정 집계치보다 오히려 4만명 이상 줄었다.
시도별로도 서울의 경우 전날 오후 9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가 9만5천234명으로 잠정 집계됐으나 이날 방대본 발표에서는 8만1천395명으로 1만명 넘게 줄어들었다.
보통 전날 오후 9시 기준 신규 확진자 집계치와 이튿날 발표되는 최종 수치에는 차이가 있지만, 최종 수치가 오히려 감소하는 경우는 없었다.
방역당국은 이에 대해 최근 확진자 인정 방식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집계 오류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질병관리청은 참고자료를 내고 “전날 저녁에 보도된 확진자 집계치는 지자체 재난문자와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집계된 수치”라며 “이는 기존 확진자나 타 시도 중복 사례, 오류가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심야에 정보 확인을 거치는 과정에서 (확진자 숫자가) 줄어들게 된다”고 밝혔다.
질병청은 “더욱이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양성을 확진으로 인정함에 따라 사용자인 의료기관과 확진자가 늘어났고, 확진자 집계 방식도 복잡해져 집계 소요 시간도 크게 늘었다”며 “확진자 집계에 차질이 없도록 긴급 시스템 안정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도 이날 브리핑에서 “신속항원검사 양성까지 확진으로 인정하면서 상당히 많은 신고가 접수됐다”며 “이러한 사례가 시스템에 집계되는 데 시간이 소요되고 일정 시점 이후로 미처 통계에 잡히지 못한 부분이 있어 이를 오늘(내일 발표) 중으로 반영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연일 30만명대 확진자가 나오는 상황에서 지난 14일부터 일반 병·의원의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양성 사례까지 폭넓게 확진으로 인정하면서 집계 시스템에 과부하가 발생했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신속항원검사를 시행한 병원과 지자체가 각각 확진자를 중복으로 등록했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실제 일부 시도는 이날 오전 자체적으로 발표하는 확진자 통계에서 질병청 통계와 다른 수치를 내놓았다.
울산의 경우 전날 밤 잠정 집계치가 실제 확진자 수에 더 가까울 것으로 보고, 이날 오전 지역 주민들에게 “16일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 1만3천921명(중구 2천459명·남구 4천86명·동구 2천310명·북구 2천663명·울주 2천403명)”이라는 안내 문자를 발송했다. 이는 방대본이 발표한 울산 지역 확진자 수(1만364명)보다 3천557명이 많은 수치다.
인천도 자체 집계치를 활용해 이날 3만1천211명이 확진됐다고 발표했는데, 이 역시 방대본 발표(2만8천464명)보다 2천700여명 많다.
이처럼 확진자 집계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양성 판정을 받고도 며칠째 스스로 역학조사 내용을 기입할 수 있는 온라인 링크나 관련 안내문자를 받지 못한 사례도 확인됐다.
이에 손 반장은 “이번주부터 처음으로 동네 병·의원에서 신속항원검사로 진단하고, 이를 추후 보건소로 연계하고 있는 상황이라 안정화 과정에서 실수 등이 발생할 수 있다”며 “지자체나 의료현장의 건의사항 들을 논의하면서 빠르게 개선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연합뉴스>연합뉴스>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