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orld Exchange Now

“연준, 5·6월 0.5%P씩 인상”
골드만삭스 ‘신속 단행’ 전망


미국 뉴욕증시가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에도 상승 마감했다. 2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54.47포인트(0.74%) 오른 34807.4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0.43포인트(1.13%) 상승한 4511.61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인 나스닥 지수도 전장보다 270.36포인트(1.95%) 뛴 14108.82로 거래를 마쳤다.

앞서 제롬 파월 미 Fed 의장은 전날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자 더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때문에 3대 지수는 전날 모두 하락세를 보였으나 이날 상승 전환했다. 파월 의장은 “연방기금금리를 한 번의 회의나 여러 회의에서 25bp(1bp=0.01%포인트)보다 더 많이 인상함으로써 더 공격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적절하다고 결론 낸다면 우리는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에 전날 2.32%를 웃돈 데 이어 이날 2.38%까지 올랐다. 이는 2019년 5월 이후 최고치다. 골드만삭스는 Fed가 오는 5월과 6월 회의에서 각각 기준금리를 0.5%포인트씩 인상할 것으로 내다봤다. 골드만삭스는 “1월 ‘꾸준히’라는 단어를 썼던 파월 의장이 이번에 ‘신속하게’라는 단어를 썼다는 점은 0.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단행하겠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이전에는 두 회의에서 모두 0.25%포인트 인상을 예상한 바 있다. UBS도 보고서에서 0.50%포인트 인상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금리 인상에서 “더 빠른 것이 더 낫다”고 밝혔다. 불러드 총재는 올해 금리를 3%까지 올릴 경우에 대해 “약간 제약적인 수준으로 인플레이션을 전환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유가는 소폭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4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0.36달러(0.3%) 하락한 배럴당 111.7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유회경 기자 yoology@munhwa.com
유회경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