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부 생산능력 4배↑, 중국 전역 공급
베이징=글·사진 박준우 특파원
1일 중국 베이징(北京) 핑구(平谷)구에 자리잡은 풀무원 제2공장.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쉴 새 없이 두부가 쏟아지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로 전 세계에 단 두 대밖에 없다는 이 기계는 시간당 6000모 이상의 포장두부를 생산해 낸다. 초대형 기계지만 공장에서 작업을 하는 직원들은 채 10명이 되지 않는다. 두진우 풀무원 중국법인 대표는 “완전한 자동화 시스템을 갖췄기 때문에 사실상 인원을 더 줄일 수도 있다”며 “전 세계를 대상으로 대량의 두부를 공급하는 풀무원만이 보유할 수 있는 기계”라고 설명했다. 두 대표는 “이곳 공장은 완벽한 폐수처리로 지역 내 생산시설의 모범이 되고 있다”고 귀띔했다.
풀무원은 이날 베이징 2공장을 최근 준공해 두부 생산 능력을 연간 1500만 모에서 6000만 모로 4배 확대했고, 이로써 중국 전역에 안정적으로 두부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됐다고 밝혔다. 그동안 설비로는 베이징을 비롯해 상하이(上海), 광저우(廣州), 선전(深<土+川> ) 등 주요 거점도시(1선도시) 중심으로 두부를 공급하는 게 한계였지만 2공장이 완공됨에 따라 중국 지방 도시까지 공급이 가능하게 됐다는 것이다. 두 대표는 “두부가 필수 식료품으로 대접받는 중국이다 보니 아직도 공급해야 할 곳이 많다”며 “포장두부인 노두부(볶음·찜용), 런두부(찌개·훠궈용), 내지두부(샐러드·비빔용)와 두부면 등 두부가공제품, 콩을 활용한 식물 단백질 음료인 두유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두 대표는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가동이 불가능한 중국 공장이 계속 생겨나면서 적은 인원으로 대규모 공급이 가능한 풀무원의 경쟁력이 올라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풀무원은 최근 중국시장 10년 만에 두부 및 파스타 매출 호조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간편식 스파게티와 두부 주력 제품의 인기, 냉동 가정간편식이 매출을 주도하며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71% 고속 성장 중이다. 2020년 중국 진출 10년 만에 흑자 전환과 두 자리 수 영업이익을 실현했다. 풀무원 중국법인의 두부를 중심으로 한 두(豆)제품 매출은 지난 한 해에만 2020년 대비 26%, 풀무원 중국법인 푸메이둬(圃美多)의 최대 히트상품인 냉장 파스타 매출은 무려 55% 늘어나는 등 고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풀무원은 2021년 홍콩에서 설립된 중화권의 권위 있는 브랜드평가기관 아시아브랜드(Asiabrand)가 조사, 발표한 ‘아시아 500대 브랜드’에 선정되기도 했다. 2021년 아시아 500대 브 랜드에 선정된 국내브랜드는 총 24개이며 이 가운데 식품기업은 풀무원을 포함해 단 3곳에 불과하다.
풀무원 총괄법인의 이효율 대표는 “베이징 1공장을 지은 지 10년 만에 2공장을 준공하여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시장 내 두부 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두부를 포함함 식물성 지향 식품을 중심으로 면, 파스타 등 신선편의식품의 생산을 계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베이징 1·2공장을 중심으로 향후 충칭(重慶), 상하이, 남방지역에도 냉동·냉장 가정간편식(HMR) 생산 기지를 건설하여 중국시장에서의 성장세를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土+川>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