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경제형’에서 방향 틀어
최중경·김한길 등 꾸준히 거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실 비서실장을 ‘실무형’으로 인선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11일 알려졌다.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 김대기 전 청와대 정책실장, 박병원 전 경제수석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날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비서실장 인선을 두고 ‘경제형’에서 ‘실무형’으로 그 기준을 바꾼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국정의 컨트롤 타워로 기능해 왔다는 평가와 함께 이른바 제왕적 대통령제를 상징한다고 비판받는 대통령 비서실을 축소하기로 공약했던 방침을 인사에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가 아니라 국무회의·민관합동협의회 등에서 국정을 운영하겠다는 윤 당선인의 방침대로 기존 비서실 권한을 줄이는 실무형 인사가 필요하다는 취지다. 현재 최 전 장관과 김 전 정책실장, 박 전 경제수석 등이 유력한 후보로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윤 당선인이 여소야대의 국회 지형을 감안한다면 김한길 인수위 국민통합위원장을 기용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김 위원장은 중도 성향의 정치권 인사로 더불어민주당과의 소통이 원활한 만큼, 정무 감각을 갖춘 인사로 평가된다. 비서실장 인선은 당초 물망에 오르던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이 국회에 잔류할 것으로 전해지면서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비서실장은 대통령의 지명만으로 임명이 가능하기 때문에 새 정부 출범 즈음에 발표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밖에 대통령 홍보수석에는 백수현 삼성전자 커뮤니케이션팀장이, 경제수석에는 김소영 서울대 교수가 유력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백 팀장은 일부 매체의 홍보수석 유력설 보도에 대해 “연락받은 바도 없고, 아는 바도 전혀 없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국가안보실장으로는 이명박 정부에서 외교통상부 2차관을 지냈고 현재 인수위에서 외교안보분과 간사를 맡고 있는 김성한 전 외교부 2차관이 검토되고 있다.
서종민 기자 rashomon@munhwa.com
최중경·김한길 등 꾸준히 거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실 비서실장을 ‘실무형’으로 인선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11일 알려졌다.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 김대기 전 청와대 정책실장, 박병원 전 경제수석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날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비서실장 인선을 두고 ‘경제형’에서 ‘실무형’으로 그 기준을 바꾼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국정의 컨트롤 타워로 기능해 왔다는 평가와 함께 이른바 제왕적 대통령제를 상징한다고 비판받는 대통령 비서실을 축소하기로 공약했던 방침을 인사에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가 아니라 국무회의·민관합동협의회 등에서 국정을 운영하겠다는 윤 당선인의 방침대로 기존 비서실 권한을 줄이는 실무형 인사가 필요하다는 취지다. 현재 최 전 장관과 김 전 정책실장, 박 전 경제수석 등이 유력한 후보로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윤 당선인이 여소야대의 국회 지형을 감안한다면 김한길 인수위 국민통합위원장을 기용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김 위원장은 중도 성향의 정치권 인사로 더불어민주당과의 소통이 원활한 만큼, 정무 감각을 갖춘 인사로 평가된다. 비서실장 인선은 당초 물망에 오르던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이 국회에 잔류할 것으로 전해지면서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비서실장은 대통령의 지명만으로 임명이 가능하기 때문에 새 정부 출범 즈음에 발표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밖에 대통령 홍보수석에는 백수현 삼성전자 커뮤니케이션팀장이, 경제수석에는 김소영 서울대 교수가 유력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백 팀장은 일부 매체의 홍보수석 유력설 보도에 대해 “연락받은 바도 없고, 아는 바도 전혀 없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국가안보실장으로는 이명박 정부에서 외교통상부 2차관을 지냈고 현재 인수위에서 외교안보분과 간사를 맡고 있는 김성한 전 외교부 2차관이 검토되고 있다.
서종민 기자 rashomon@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