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상 사전예약자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4차 접종이 시작된 25일 한 어르신이 서울 강서구 부민병원에서 백신 주사를 맞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60세 이상 사전예약자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4차 접종이 시작된 25일 한 어르신이 서울 강서구 부민병원에서 백신 주사를 맞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방역 완화 성급하게 이뤄져
자칫하면 재유행 맞을수도”


코로나19가 25일 1급에서 2급 감염병으로 하향됐지만, 바이러스 특성이 바뀌지 않은 만큼 확진자 격리의무 해제 등 방역 조치 추가 완화는 최대한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전문가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코로나19 새 변이 출현이나 간헐적인 재유행 등 유행 상황이 급변할 경우 코로나19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방어막’이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이날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을 최고 단계인 1급에서 2급으로 하향 조정하고, 앞으로 4주간을 ‘이행기’로 정해 확진자 7일 격리의무 등 현행 관리체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이는 정부가 지난 15일 발표한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체계’ 추진계획에 따른 후속 조치다. 재유행 등 상황이 변화하지 않는 이상 다음 달 말로 예정된 ‘안착기’에는 격리가 의무가 아닌 권고로 바뀌게 된다.

전문가들은 감염병 등급 하향과 격리의무 해제 등 방역 완화 조치가 과학적 검토 없이 성급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기석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법정 감염병은 한 번 급수를 정하면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것이 아니다”며 “겨울에 유행 상황이 나빠지면 1급 감염병으로 재상향할 수 있다는 얘기는 보건의료정책을 손바닥처럼 쉽게 뒤집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나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등은 1급 법정 감염병 지정 이후 한 번도 변경되지 않았다.

이행기를 거쳐 격리의무를 해제하는 것은 향후 재유행의 불쏘시개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정 교수는 “전파율이 높은 바이러스 특성이 전혀 변하지 않았고 확진자 수는 매일 수만 명씩 나오는 상황도 똑같은데 격리의무만 풀겠다는 것은 비과학적, 정치적 이유로 보인다”고 말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감염되면 최대 2주간 몸 밖으로 배출된다”며 “확진자가 격리되지 않으면 주변 사람들에게 코로나19 전파를 차단하는 최소한의 방어막을 없애는 것”이라고 말했다. 천 교수는 “격리의무를 없앨 경우 한국의 조직 문화를 감안하면 직장과 다중이용시설 내 집단감염 사태가 생길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코로나19 하루 확진자는 76일 만에 3만 명대로 내려와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3만4370명으로 집계됐다.

권도경 기자 kwon@munhwa.com
권도경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