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패감, 86세대의 2.5배

한국의 청년층 5명 중 1명은 ‘노력해도 성공하지 못한다’며 우리 사회의 공정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0년 조사 때보다 2.5배로 높아진 것이다. 지금의 청년층인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 젊은 세대)가 느끼는 좌절감이 1990년대 ‘86세대’가 청년일 때와 비교해 더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28일 한국행정연구원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새로운 사회전환을 위한 과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국제조사기관 ‘월드 밸류 서베이’의 7차 조사(2016∼2020년)에서 한국의 16∼24세 청년 응답자 중 20.8%가 ‘노력해도 성공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990년 조사에서는 8.4%였다. 전 세계 120개국의 연구 기관들이 참여하는 월드 밸류 서베이는 1990년부터 5년 간격으로 각 나라의 가치관을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가장 최근 수행된 7차 조사는 한국의 경우 2018년 12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7차 조사에서 부정적인 응답을 한 한국 청년들 비율은 미국, 일본, 멕시코, 스웨덴 등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층 2명 중 1명은 우리 사회의 취업기회가 불공정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청년층 절반 이상이 다른 사람을 신뢰하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보고서는 “사회적 불평등 증가는 우리 사회 시스템에 대한 불공정 인식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정민 기자 jay@munhwa.com

관련기사

이정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