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국내 100대 기업 코로나19 전후 경영성과 분석 “매출·영업익 늘었지만, 대내외 불확실성 늘어 현금 확보로 대비...기업들 재무부담 가중 우려”
국내 대기업들의 경영 실적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지만,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차입을 늘려 현금을 확보하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국내 매출 100대 기업의 코로나19 이전(2018~2019년)과 이후(2020~2021년 누계) 기시의 실적을 비교·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이후 100대 기업의 매출액 누계는 1666조5000억 원, 영업이익 누계는 130조 원을 각각 기록해 직전 2년 대비 각각 5.8% 및 5.9%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코로나19로 호황을 누렸던 반도체 기업(삼성전자·SK하이닉스)을 제외해도 나머지 98개 기업 매출은 코로나19 이전 대비 1228조4000억 원으로, 영업이익은 60조8000억 원으로 각각 3.7% 및 43.4% 늘었다.
코로나19 이후 전체적인 투자액도 늘었다. 이 기간 100대 기업의 투자액은 149조2000억 원으로 코로나19 이전 대비 8.6% 증가했다. 다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63조9000억 원을 제외하면 나머지 기업들의 투자는 오히려 11.4% 감소했다. 전경련은 대기업들이 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양호한 실적을 거뒀으나 대내외 불확실성이 가중되면서 투자를 미루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자료 :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영 실적 측면에서 보자면 100대 기업들은 코로나19 위기 속에도 ‘선방’했다고 볼 수 있지만, 코로나19로 인해 확대된 미래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 빚을 늘려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재차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해 현금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전경련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100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은 총 244조6000억 원이었다. 이는 같은 시기 투자(189조1000억 원)와 배당·이자(59조5000억 원)로 지출한 현금 248조6000억 원과 비슷한 규모다. 그러나 지난해 말 기준 100대 기업의 총차입금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말 대비 9.7%(23조7000억 원) 증가했다. 이에 대해 전경련은 “기업들이 코로나19 이후 투자·배당 지출로 인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수익만으로 현금을 충당하지 못하자, 차입을 늘려 추가적인 현금을 확보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기업들의 보유 현금보다 빚이 더 많이 늘어나면서 재무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고 전경련은 우려했다. 이들 100대 기업의 총차입금에서 현금성 자산을 제외한 순차입금은 지난 5년 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1년 말에는 164조8000억 원으로 최근 5년 내 최대치를 기록했다. 순차입금은 기업이 현금 등 유동성이 높은 자산을 이용해 차입금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을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올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글로벌 통화긴축 등 기업들이 당면한 대외적 불확실성이 지난해보다 더욱 확대된 상황”이라며 “기업들이 불확실성을 잘 헤쳐나가 적극적인 투자·고용에 나설 수 있도록, 선제적 세제지원·규제개혁으로 기업들이 경영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