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o
2020년부터 李-중앙정치 연결
“보궐선거 패배땐 李부담” 우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을 중앙 정치와 연결해 준 건 이른바 ‘7인회’(정성호·김병욱·김영진·임종성·문진석·김남국 의원, 이규민 전 의원)로 불리는 전·현직 국회의원들이다. 이들은 오랜 기간 이 선대위원장과 관계를 맺어온 인사들로 대선 캠프 길목마다 핵심 역할을 맡았다. 최근에는 ‘이재명 조기 등판’을 반대하는 등 쓴소리도 마다치 않는 최측근 그룹으로 분류되고 있다.
7인회 좌장은 4선의 정성호 의원이다. 정 의원은 1984년 서울 관악구 신림동에서 사법시험을 준비할 때 이 선대위원장을 처음 만났다. 사법연수원 동기(18기) 시절 ‘노동법 연구회’라는 언더서클도 함께 활동했다. 그는 20대 대선 당시 민주당 후보로 선출됐던 이 선대위원장의 경선 캠프에서 총괄특보단장을 지냈다. 구체적인 업무를 맡지 않았으나, 내부를 다독이면서 균형을 잡는 ‘맏형’ 역할을 해왔다. 온건파로 분류되는 정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과 관련해 “하루라도 빨리 진용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는 소신 발언을 하기도 했다.
김병욱·김영진 의원도 친명계 핵심 참모로 분류된다. 두 의원 모두 정 의원과 더불어 19대 대선 경선 캠프에서부터 이 선대위원장을 도왔다. 20대 캠프에선 각각 직능총괄본부장과 상황실장을 지냈다. 임종성 의원은 총괄부본부장으로 이규민 전 의원과 함께 조직을 담당했다. 초선인 김남국(수행실장)·문진석(공동상황실장) 의원도 ‘행동대장’ 격으로 이 선대위원장을 가까이에서 보좌했다. 대선 캠프에서 전략본부장을 지낸 민형배(무소속) 의원까지 포함, ‘8인회’로 불리기도 한다.
7인회는 2020년 말부터 이 선대위원장을 민주당 의원들과 잇는 ‘가교’ 역할을 해왔다. 이들 중 5명은 대선 패배 두 달여 만에 이 선대위원장이 6·1 국회의원 보궐선거 인천 계양을 출마를 공식 선언한 것과 관련, 조기 등판을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또다시 선거에서 패할 시 정치적 부담이 가중될 수 있고, 당선되더라도 당내 계파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김성훈 기자 powerkimsh@munhwa.com
2020년부터 李-중앙정치 연결
“보궐선거 패배땐 李부담” 우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을 중앙 정치와 연결해 준 건 이른바 ‘7인회’(정성호·김병욱·김영진·임종성·문진석·김남국 의원, 이규민 전 의원)로 불리는 전·현직 국회의원들이다. 이들은 오랜 기간 이 선대위원장과 관계를 맺어온 인사들로 대선 캠프 길목마다 핵심 역할을 맡았다. 최근에는 ‘이재명 조기 등판’을 반대하는 등 쓴소리도 마다치 않는 최측근 그룹으로 분류되고 있다.
7인회 좌장은 4선의 정성호 의원이다. 정 의원은 1984년 서울 관악구 신림동에서 사법시험을 준비할 때 이 선대위원장을 처음 만났다. 사법연수원 동기(18기) 시절 ‘노동법 연구회’라는 언더서클도 함께 활동했다. 그는 20대 대선 당시 민주당 후보로 선출됐던 이 선대위원장의 경선 캠프에서 총괄특보단장을 지냈다. 구체적인 업무를 맡지 않았으나, 내부를 다독이면서 균형을 잡는 ‘맏형’ 역할을 해왔다. 온건파로 분류되는 정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과 관련해 “하루라도 빨리 진용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는 소신 발언을 하기도 했다.
김병욱·김영진 의원도 친명계 핵심 참모로 분류된다. 두 의원 모두 정 의원과 더불어 19대 대선 경선 캠프에서부터 이 선대위원장을 도왔다. 20대 캠프에선 각각 직능총괄본부장과 상황실장을 지냈다. 임종성 의원은 총괄부본부장으로 이규민 전 의원과 함께 조직을 담당했다. 초선인 김남국(수행실장)·문진석(공동상황실장) 의원도 ‘행동대장’ 격으로 이 선대위원장을 가까이에서 보좌했다. 대선 캠프에서 전략본부장을 지낸 민형배(무소속) 의원까지 포함, ‘8인회’로 불리기도 한다.
7인회는 2020년 말부터 이 선대위원장을 민주당 의원들과 잇는 ‘가교’ 역할을 해왔다. 이들 중 5명은 대선 패배 두 달여 만에 이 선대위원장이 6·1 국회의원 보궐선거 인천 계양을 출마를 공식 선언한 것과 관련, 조기 등판을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또다시 선거에서 패할 시 정치적 부담이 가중될 수 있고, 당선되더라도 당내 계파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김성훈 기자 powerkimsh@munhwa.com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