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서 수용 못해 서울청사 검토
특보 체제 실효성 논란도


윤석열 대통령이 이동관(사진) 전 청와대 홍보수석을 필두로 ‘광화문 특보팀’을 서울 정부종합청사 13층에서 가동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26일 나타났다. 대통령 직속 특보 사무실을 용산 집무실이 아닌 광화문 정부청사에 설치하는 것을 두고 “대통령실 슬림화 공약과 달리 이미 조직이 너무 비대화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날 대통령실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특보팀 사무실이 서울 광화문의 정부종합청사 13층에 꾸려져 있다. 특보는 윤 대통령의 당선인 시절 특별고문을 맡았던 이 전 수석 등이 유력하다. 광화문 특보팀의 가동 시점은 오는 6·1 지방선거 이후로 점쳐진다.

대통령실은 소위 ‘늘공’(직업 공무원) 위주로 짜인 조직을 보완하기 위해 특보 체제를 구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보가 각 부처 간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대통령실 밖에서 객관적인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는 취지다. 대통령실은 우선 이 전 수석을 중심으로 특보실을 운영할 방침이지만 향후 여러 팀으로 확대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 특보 사무실은 용산 대통령실에 공간이 부족한 점을 감안해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 설치했다.

정치권 일각에선 특보 체제에 회의론도 적지 않게 흘러나오고 있다. 앞서 이명박 정부도 여성·지방행정·과학기술·국민통합 등 특보에 대통령 측근을 임명했지만 그 실효성을 두고는 논란이 일었다. 당시 이명박 정부의 요직에서 활동했던 이 전 수석을 특보로 기용하는 것을 두고도 ‘올드보이의 귀환’이라는 불만도 나온다. 여권 관계자는 “젊은 공직자와 정치인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겠다는 윤석열 정부 원칙과도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특보가 일상적인 업무에서 벗어나 새로운 화두를 선제적으로 제시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종민 기자 rashomon@munhwa.com
서종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