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안정성 취약 품목 133개 중 중국산은 95%나 차지
“글로벌 공급망 위기 악화…중국 편중 현상 해소 방안 마련해야”




한국이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핵심 수입품목의 70% 이상이 중국산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때문에 주요 품목의 수입선 다변화, 글로벌 공급망 동맹 적극 참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3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최남석 전북대 무역학과 교수에게 의뢰해 진행한 ‘한국경제 산업 핵심 물자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수입의존도가 90% 이상이고, 수입 경쟁력이 절대 열위인 품목 중 수입금액 규모가 상위 30%에 해당하는 228개 품목 가운데 172개(75.5%)가 중국산이라고 밝혔다. 또 일본산 품목은 32개(14.0%), 미국산 품목은 24개(10.5%)로 나타났다.

관리가 필요한 중국산 핵심 수입품목은 전기제품, 기계 및 컴퓨터, 철강, 유·무기 화합물, 유리, 의료용품, 비철금속 등 산업용 원자재 등이다. 강철 제조 필수 소재인 망간, 전기차 배터리의 음극재에 활용되는 필수 원료인 흑연, 자동차 경량화의 주요 소재인 마그네슘 등이 대표적인 중국산 수입 품목이다.

또 일본산 핵심 수입 품목은 전기제품, 기계 및 컴퓨터, 플라스틱, 전기제품 유기화합물 등이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소재인 폴리이미드 필름, 반도체 웨이퍼를 가공하는 기계 또는 분사기 등이 관리가 필요한 일본산 품목이다. 미국산 핵심 수입 품목은 석유·석탄, 항공기, 전기제품, 과일, 기계 및 컴퓨터 등이다.

최 교수는 보고서에서 “핵심 수입품목에 대한 수급 관리를 못 하면 언제든지 요소수 대란과 같은 공급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며 “228개 품목에 대해서는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수입 다변화 등의 조처를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기업 간 거래가 많고 글로벌 공급망 안전성이 취약한 것으로 판단되는 133개 품목에 대해서는 조기경보 관리 체계를 수립하고, 국내 민간기업의 현장 수요를 중심으로 정부의 대처 방안을 맞춤형으로 상시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공급망 안정성이 취약한 이들 133개 품목 중 중국산 품목은 127개로 95.4%나 차지했다. 산화 텅스텐(반도체 소재), 염화칼슘, 비디오 카드, 태양광 모듈, 농약 원제 등이 조기경보 체계가 필요한 중국산 수입품목이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와 중국 상하이 봉쇄 조치가 장기화하면서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악화하고 있다”며 “수입선 다변화, 글로벌 공급망 동맹 적극 참여 등을 통해 중국 편중 현상을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준희 기자
박준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