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대호, 동체 시력 팀내 상위 1%
추신수, 점프력 20대 선수들 압도
오승환, 규칙적인 운동·음식 조절
‘불혹 만세.’
2022 신한은행 쏠(SOL) KBO리그에서 만 나이로 불혹을 넘긴 선수는 1982년생인 이대호(롯데)와 추신수, 김강민(이상 SSG), 오승환(삼성) 등 모두 4명이다. 최고령은 1982년 6월 21일생인 이대호. 이어 추신수가 7월 13일생, 오승환이 7월 15일생, 김강민이 9월 13일생이다. 과거 프로야구 무대에서 40세는 ‘현역 무덤’으로 불렸다. 그만큼 세월을 비켜 가기 힘들다는 얘기. 그러나 이대호와 추신수, 오승환은 ‘나이는 정말 숫자에 불과하다’는 격언을 몸소 증명하고 있다.
올해를 끝으로 은퇴를 선언한 이대호는 30일 기준, 47경기에서 타율 0.352에 6홈런, 23타점, 20득점을 유지 중이다. 타율은 리그 전체 2위, 안타 수는 4위다. 맹타의 비결은 ‘건강한 눈’이다. 눈은 사람의 신체 중 가장 먼저 노화가 진행되는 부분. 그런데 이대호는 동체 시력, 대조 시력 등 전반적인 시각기능이 팀 내 상위 1%에 올라 있다. 치기 좋은 공, 자신만의 존으로 들어오는 공을 골라 맞힌다. 그래서 삼진이 적다. 올해 194타석에서 20개의 삼진만 당했다.

오승환은 2승 1홀드 11세이브 평균자책점 2.21을 유지하고 있다. 13번의 세이브 기회에서 블론 세이브는 단 1개. 오승환은 철저한 자기 관리로 세월의 무게를 견뎌내고 있다. 오죽하면 별명이 ‘모범생’. 매일 웨이트트레이닝으로 단련된 가슴 근육과 허벅지 근육은 전성기 못지않다. 여기에 먹는 것에도 각별한 신경을 쓴다. 김현규 삼성 트레이닝 코치는 “구속이 떨어지거나 하면 변화가 필요하겠지만 보다시피 잘하고 있다. 주변에서 따로 조언을 안 해도 될 정도로 자기 관리가 철저하다. 롱런엔 다 이유가 있다”고 설명했다.
정세영 기자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