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단장, 비검찰·호남지역 출신 인사정보담당관 등 17명 배치 1담당관 이동균-2담당관 이성도
검찰권에 인사검증권까지 가진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권한 비대화 논란 속에 과거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고위 공직자에 대한 인사검증 업무를 이어갈 인사정보관리단이 7일 예정대로 출범했다. 법무부는 이날 인사정보관리단 수장으로 국장급인 박행열(사진) 인사혁신처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리더십개발부장을 임명했다.
법무부는 이날 국무조정실과 인사혁신처, 국방부·교육부·국세청·경찰청·국가정보원·금융감독원 등 관련 기관으로부터 파견받은 인력 13명과 검사 3명을 인사정보관리단에 배치해 업무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관련 규정 정비와 박 단장을 포함해 이동균 전 서울남부지검 형사3부장과 이성도 전 국무조정실 평가총괄과장을 각각 인사정보1·2담당관에 임명하는 등 총 17명에 대한 인사를 통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사검증팀에서 맡던 공직자 검증 업무를 넘겨받았다. 법무부는 정원 20명 중 남은 3명에 대한 인선도 조만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이날 인사혁신처 출신 단장 임명은 한 장관의 권한 비대화 논란을 우려해 비검찰·비법무 출신을 우선 고려한 결과로 풀이된다. 박 단장이 호남 출신인 점을 고려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법무부는 인선 배경에 대해 “(박 단장은) 중앙인사위원회와 중앙공무원교육원 등을 거쳐 인사혁신처 기획재정담당관과 인사혁신기획과장을 역임한 인사 행정 전문가”라며 “전문성과 인사 관련 법령 및 제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공정하고 객관적인 인사검증 업무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이날 법무부의 인선 공개에도 권한 비대화 우려는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대표적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입김 작용 가능성이 큰 인수위 파견 검사 대다수가 인사정보관리단으로 그대로 적을 옮겼다. 이날 법무부는 세평 등 사회분야 검증을 담당할 인사정보1담당관으로 이동균 전 부장을 발령했다. 이 전 부장은 지난 3월부터 인수위 인사검증팀에 속해, 이날 인사로 법무부에서 관련 업무를 이어가게 됐다. 인수위에 파견됐다가 복귀하지 않고 관련 업무를 이어가던 다른 부부장급 검사 2명도 인사정보관리단으로 적을 옮긴 것으로 전해졌다. 인사정보관리단 사무실은 독립성 보장을 위해 정부과천청사가 아닌 서울 종로구 삼청동 감사원 별관에 마련됐다. 한 장관은 인사 정보가 사정 업무에 이용되지 않도록 부처 내 ‘차이니스 월’(부서 간 정보교류 제한)을 치고, 중간보고도 받지 않을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