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거이동 사다리’ 사실상 끊겨
“대출 받을 여력 안된다” 한숨
서울 마포구에 거주 중인 1주택자 김모(여·40) 씨는 자녀 교육 때문에 강남이나 목동 등 ‘학군지’로 이사를 알아봤지만, 최근 완전히 마음을 접었다. 학군지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추가 대출을 받아야 하는데,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5%가 넘어가는 것을 보고 이사 계획을 백지화한 것이다. 김 씨는 “학군을 옮기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지만, 기존 대출이 있어 도저히 여력이 안 된다”며 한숨을 쉬었다.
구로구에 사는 박모(45) 씨도 보유한 아파트를 전세로 주고 강남 전셋집으로 이사를 계획하고 있다. 이직한 직장 출퇴근이 쉬운 데다, 자녀들의 교육 여건 개선을 위한 결정이다. 그러나 부동산 시장이 갑작스레 얼어붙으면서 내놓은 집이 3개월째 나가지 않고 있고, 전세자금대출 금리도 오르고 있어 고민이 많다. 그는 “직전 거래가보다 5000만 원 낮게 전세를 내놨는데도 거래 문의가 없다”고 말했다.
금리 ‘빅스텝’ 여파에 ‘주거 이동의 사다리’가 사실상 끊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출에 의존해야 하는 서민들의 주거와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한 이동이 제한을 받고, 주택 거래 절벽까지 발생하면서 고금리 충격파가 주거 생태계를 붕괴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전국 주택 매매량은 31만260건으로 전년 동기(55만9323건) 대비 44.5% 감소했다. 이는 ‘인구 이동의 감소’로도 이어졌다.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자료를 보면, 지난 6월 국내 이동자 수는 1년 전보다 12.2%(6만7000명) 감소한 47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1974년(35만6000명) 이후 48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이다.
송유근·김보름 기자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