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일종 정책위의장 “文 정부 방만 재정” 지적
“내년 예산안, 국민의 삶·다음 세대 위한 편성”


성일종(왼쪽)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2023년도 예산안 관련 당정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성일종(왼쪽)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2023년도 예산안 관련 당정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2023년도 예산안 관련 당정협의회를 마친 후 언론브리핑에서 “청년에게 희망이 되는 예산을 당이 요청했다”며 “구직단념청년들에게 구직프로그램 이수 시 300만 원의 도약 준비금을 지원하는 예산을 요청했고, 정부도 이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반영키로 했다”고 밝혔다.

성 정책위의장은 이날 “청년들에게 국가 예산은 힘이 될 수 있어야 한다. 일자리 관련해 청년들이 선호하는 삼성, SK 등이 운영하는 취업 프로그램을 이수하면 취업률이 높은데 이와 관련한 예산을 대폭 확대 요청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성 의장은 이날 예산안 당정협의회에 관해 “2023년도 예산에 대한 당의 컨셉은 국민의 삶과 다음 세대를 위한 예산”이라며 “지금 국민의 삶이 굉장히 어렵기 때문에 어려움 속에 생활하는 취약계층이나 서민 위한 예산 담는 것, 이 부분을 국민의 삶이라는 큰 틀에서 컨셉을 잡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향후 5년 동안의 예산 방향과 기조는 건전재정을 확보하는 것”이라며 “(전임) 문재인 정부에서 1070조 원에 이르는 방만한 재정운용을 통해서 나라의 곳간이 상당히 비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성 의장은 “저희는 이것을 반드시 튼튼한 나라의 재정 근간으로 만들어야겠다, 건전재정확립이라고 하는 큰 방향을 가지고 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성 의장은 ▲현행 30~80만 원인 장애인 고용장려금, 하한 20%~상한 10% 인상 ▲저소득 장애인 모두에게 월 5만 원의 교통비 신규 반영 ▲농업직불금 56만 명 추가 지급 ▲청년 전세사기 위험 안전망 확보를 위한 월 6만 원 보증보험 가입비 지원 신설 ▲저소득층 에너지 바우처 50% 인상 ▲농축수산물 할인쿠폰 혜택 인원 2배 이상 확대 ▲보훈급여 대폭 인상 ▲대심도 빗물터널설계비 등을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반영하도록 요청했다고도 밝혔다.

박준희 기자 vinkey@munhwa.com
박준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