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한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한미일 안보수장 회동을 마치고 2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귀국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성한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한미일 안보수장 회동을 마치고 2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귀국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하와이 한·미·일 안보실장 회의 마치고 귀국
“북한 7차 핵실험은 ‘6 더하기 1’ 아냐 … 한·미·일 강력 대응키로”


김성한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2일 한·일 정상회담과 관련해 “구체적인 시기를 논의했다”며 이르면 이달 중순 유엔총회에서 이뤄질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 북한이 제7차 핵실험에 나선다면 한·미·일이 공조를 통해 국제사회와 더불어 강력 대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미국 하와이에서 한·미·일 안보실장 회의를 마치고 이날 오후 귀국한 김 실장은 인천공항에서 기자들을 만나 ‘한·일 정상회담의 구체적인 시기를 논의한 것이 있느냐’는 질문에 “구체적인 시기를 논의했지만 현재 밝힐 단계는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앞으로 유엔을 비롯한 다자회의 계기라든지 아니면 그 전후 필요하다면 양 정상이 이른바 ‘셔틀 외교’ 형태로 만나 해법을 구체적으로 밝힐 기회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김 실장은 ‘이르면 유엔총회 때도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냐’는 추가 질문에 “그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고 했다.

이번 유엔총회에서 한·일 정상회담이 성사될 경우, 이는 2019년 12월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총리가 중국 청두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만난 지 2년 10개월만의 양자회담이 된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양자 회담은 지난 6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정상회의 당시 성사될 가능성이 거론됐으나, 참의원 선거를 앞둔 일본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으면서 실제 성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김 실장은 이어 “북한은 핵실험을 할 수 있는 준비를 마친 상태이기 때문에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했을 때 한미일이 국제사회와 더불어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해 논의가 있었다”면서 “만약에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하게 되면 그것은 절대 ‘6 더하기 1’이 아니다”고 경고했다.

김 실장은 “한·미, 한·일 양자와 한·미·일 3자 회담을 굉장히 밀도있게 효과적으로 진행했다”며 “한·미·일 3국간에 전략적 공감대가 있으니까 여러 현안과 이슈들을 상당히 빠른 속도로 다양하게 효과적으로 협의했다”고 했다.

김 실장은 윤석열 대통령이 북한의 비핵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제시한 ‘담대한 구상’과 관련, “‘담대한 구상’을 만드는 과정에서 일본, 또 미국과 저희가 상당히 밀도있는 협의를 거쳤기에 이번 3자회의에서도 미국과 일본이 전적으로 지지하는 입장을 밝혔다”며 “대화를 통해 북핵문제 해결에 나설 수 있도록 3자가 긴밀히 협력해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논란과 관련해선 “단기적으로 (한미) 양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지가 있는지 다시 한번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차원에서 면밀히 들여다보고 우리 측에 알려주겠다고 했기 때문에 미국 백악관 차원에서 상당한 관심을 기울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남석 기자 greentea@munhwa.com
오남석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