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류 산란장으로 쓸 인공어초 307개 설치…어획량 2~4배 증가
인천 연안해역에 인공어초를 설치하는 모습. 인천시 제공
인천=지건태 기자
인천시가 수산자원 조성과 해양생태계 복원을 위해 축구장 39개(28ha) 면적의 서해 연안 해역에 인공어초 단지를 조성한다.
시는 인천 옹진군 덕적·자월 연안 두 곳에 18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내달 초까지 인공어초 307개를 설치한다고 23일 밝혔다.
인공어초는 콘크리트 또는 강재 등으로 만든 인공구조물로 바닷속에 투하해 어패류 등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물고기 아파트’라 불리는 인공어초에 해조류가 부착해 번식하면 조류의 흐름을 완만하게 해줘 어류의 산란장으로 이용된다.
덕적 해역에 어류용 어초 24ha, 자월 해역에 패조류용 어초 4ha가 각각 조성된다. 앞서 한국수자원관리공단은 이들 해역의 수심과 조류 등을 조사해 인공어초 설치가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시는 인공어초 투하에 인공위성 항법장치인 어군탐지기를 활용하고 설치장소는 어선의 해상 교통안전에 지장이 없도록 해동에도 반영할 예정이다.
한국수자원관리공단이 최근 실시한 ‘인천해역 인공어초 시설 효과 조사’에서 인공어초를 설치한 해역은 설치하지 않은 해역에 비해 꽃게와 조피볼락, 쥐노래미 등의 어획량이 2~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 연안 해역에는 1973년부터 지난해까지 모두 1만2237ha 규모의 인공어초 단지가 조성됐다.
오국현 인천시 수산과장은 “인공어초는 수산 생물에게 양질의 서식처를 제공해 어업인의 소득 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인천=지건태 기자
인천시가 수산자원 조성과 해양생태계 복원을 위해 축구장 39개(28ha) 면적의 서해 연안 해역에 인공어초 단지를 조성한다.
시는 인천 옹진군 덕적·자월 연안 두 곳에 18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내달 초까지 인공어초 307개를 설치한다고 23일 밝혔다.
인공어초는 콘크리트 또는 강재 등으로 만든 인공구조물로 바닷속에 투하해 어패류 등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물고기 아파트’라 불리는 인공어초에 해조류가 부착해 번식하면 조류의 흐름을 완만하게 해줘 어류의 산란장으로 이용된다.
덕적 해역에 어류용 어초 24ha, 자월 해역에 패조류용 어초 4ha가 각각 조성된다. 앞서 한국수자원관리공단은 이들 해역의 수심과 조류 등을 조사해 인공어초 설치가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시는 인공어초 투하에 인공위성 항법장치인 어군탐지기를 활용하고 설치장소는 어선의 해상 교통안전에 지장이 없도록 해동에도 반영할 예정이다.
한국수자원관리공단이 최근 실시한 ‘인천해역 인공어초 시설 효과 조사’에서 인공어초를 설치한 해역은 설치하지 않은 해역에 비해 꽃게와 조피볼락, 쥐노래미 등의 어획량이 2~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 연안 해역에는 1973년부터 지난해까지 모두 1만2237ha 규모의 인공어초 단지가 조성됐다.
오국현 인천시 수산과장은 “인공어초는 수산 생물에게 양질의 서식처를 제공해 어업인의 소득 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