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 약세 지속될 것” 전망

일본 외환 당국의 개입에도 불구 엔·달러 환율이 24년 만에 처음으로 146엔 선을 넘어섰다. 완화적 통화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일본과 달리 미국이 가파르게 기준금리를 올리고 있어 엔화 약세는 지속될 수밖에 없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인사들의 긴축 옹호 발언도 이 같은 전망에 힘을 싣고 있다.

교도(共同)통신 등에 따르면 12일 오전 10시 도쿄(東京)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은 146.2엔을 기록했다. 엔화가 146엔을 넘어서는 것은 1998년 8월 이후 처음이다. 미국이 추가로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달러 매수 움직임이 엔·달러 환율 상승(엔화 약세)의 요인으로 분석된다. 엔화 가치가 급락하면서 일본 당국이 추가로 외환시장 개입에 나설 것인지도 주목된다. 일본 외환 당국은 엔·달러 환율이 장중 145.90엔(일본은행 집계 기준)까지 치솟은 지난달 22일 약 24년 만에 달러를 팔아 엔화를 사들인 바 있다.

한편 최근 경기침체 우려에도 Fed가 계속해서 기준금리를 올릴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특히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3분기 전 세계 PC 출하량이 전년 대비 19.5% 줄어 20여 년 만에 가장 가파르게 감소하는 등 실물 경기 위축 조짐이 나타나고 있는 형국이다. 블룸버그는 PC 수요 감소로 반도체 업체 인텔이 조만간 수천 명의 대량 정리해고에 나선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Fed 인사들은 이 같은 실물 경기 위축 우려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이다. 레이얼 브레이너드 Fed 부의장은 “Fed의 금리 인상으로 경기 둔화가 예상보다 더 강하게 시작됐다”면서도 금리 인상 기조 유지에 대한 입장을 재확인했다.

임정환·김선영 기자 yom724@munhwa.com

관련기사

임정환
김선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