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日 교도통신, 복수의 소식통 인용해
“G20 계기 한일 정상 대화도 검토”
일제 강제징용 노동자 배상 소송 문제의 해법으로 한일 정부가 패소한 일본 기업의 배상금을 한국의 재단이 대신 내는 방안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협의에 들어갔다고 23일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일본 교도(共同)통신은 이날 복수의 한일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한국 기업이 강제징용 노동자를 지원하는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기부금을 내고 재단이 일본 기업 대신 배상금을 지급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일본 정부도 한국 재단이 대납하는 방안이라면 수용 여지가 있다고 보고 세부 내용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방식에 대해 한일 정부는 지난 7월 도쿄(東京)에서 열린 외교장관 회담에서 협의를 시작했고, 이후 외교장관 회담과 실무 협의 때 여러 차례 한국 측은 재단을 통한 대납 방안을 설명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또 일본 정부 관계자는 통신에 “일본으로서는 용인 가능한 방안”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일 정부는 오는 11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 정상간 대화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신은 “(강제징용 해법 관련) 협의에 속도를 내 이르면 연내도 시야에 놓고 매듭을 짓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자세”라고 설명했다.
앞서 한국 측은 해당 배상 판결의 피고인인 일본 기업의 사죄와 재단 자금 거출(갹출)을 타진하고 있었지만, 일본 측이 거부하고 있어 해결책에 대한 양측 간 대화가 계속되고 있다. 일본 정부 측에선 자국 내 보수층 반발을 고려해 안이한 타협은 피해야 한다는 의도를 지닌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한국 측에는 일본 기업의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여전하다.
다만 윤석열 정부 측은 이 같은 타협안에 대해 ‘아직 아무 것도 결정된 바가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준희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