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31일 강원 양구군 육군 21사단에서 물자 운반 작업 중에 발생한 폭발물 사고로 병사 2명이 다친 사고와 관련, 군에서 사고 원인을 정확히 조사하고 책임자를 문책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고 발생 부대에서 복무 중인 한 병사는, 폭발 사고가 ‘이태원 핼러윈 참사’에 묻혀 은폐·축소될까 우려하는 내용의 글을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시했다.
자신을 21사단 예하 부대에 근무하는 병사라고 밝힌 A 씨는 6일 페이스북 커뮤니티 ‘육군훈련소 대신 전해드립니다’(육대전)에 군의 사후 대응을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 A 씨는 “뇌관이 살아있지 않다고 판단된 폭발물을 옮기다가 터져 병사 2명이 중상을 입고 국군수도병원으로 후송됐다”며 “다행히 소초에 있던 의무병이 빠르게 대처해 헬기가 올 때까지 상황이 악화되지는 않았지만 이 중 1명은 발뒤꿈치가 날아가 인공 뼈를 넣고 종아리 살을 붙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평생 다리를 절으며 살 수도 있고 잘못되면 평생 목발이나 휠체어를 타고 다닐 수도 있으며 극단적으로는 발을 절단해야 하는 상황까지 갈 수 있다고 했다”며 “앞으로 살아갈 날이 많은 청춘들에게 나라에서 주는 보상이라곤 1000만 원에서 1500만 원의 피해 보상금과 국가유공자 혜택뿐이라고 한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그러면서 “이태원 사고 등 국가적으로 안타까운 사건·사고들이 많이 일어나는 상황 속에 이번 사고는 쉬쉬하자는 분위기이고 많이 묻히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며 “제대로 된 조사는 물론이고 보상조차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또 다른 젊은 청춘들이 ‘불모지 작전’이라는 위험한 작전에 노출돼 있다”고 우려했다. A 씨는 “제대로 된 조사와 당시 있었던 책임 간부 등을 포함한 소속 지휘관은 사죄하고 책임을 반드시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A 씨의 비판글에 부대 측은 “육군 수사단에서 사고 원인과 경위를 조사하고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관련자들에 대한 처리와 안전대책 강구 등 필요한 조치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부대는 현재 사고대책본부를 구성해 부상자 치료와 회복·보상 업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앞서 지난달 31일 오전 11시 18분쯤, 강원 양구군의 한 안보전시관에서 물자 운반 작업 중 폭발물이 터져 병사 2명이 파편 등에 큰 부상을 당해 경기 성남시 국군수도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군 당국은 사고 현장에서 폭발물 잔해를 수거해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노기섭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