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르웨이 왕실, “상업 활동과 왕실의 경계를 명확히 하기 위한 것”
루이세 공주, 흑인·미국인·주술사인 약혼자와 교제하며 인종차별 비판하기도
무속인과 약혼한 마르타 루이세(50) 노르웨이 공주가 대체의학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왕실 직책을 포기했다고 8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이 보도했다.
노르웨이 왕실은 이날 성명을 통해 “공주가 현재로서는 더이상 왕실을 대표하지 않게 됐다”면서 “하랄드 5세 국왕의 뜻에 따라 공주로서의 작위는 유지한다”고 밝혔다.
루이세 공주는 하랄드 5세 국왕의 장녀이자 왕위 계승 서열 4위로 지난 6월 스스로를 주술사라고 주장하는 미국인 듀렉 베렛(47)과 약혼했다. 하랄드 5세 국왕과 소냐 하랄센 왕비는 성명을 통해 “이들의 미래에 좋은 일만 있길 바란다”고 축복했다.
‘할리우드의 영적 지도자’를 자처하는 베렛은 2019년 사람들이 암에 걸리는 것은 행복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등의 주장을 늘어놓는 책 ‘스피릿 해킹’을 발간해 논란을 일으켰다. 그는 자신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에 도움을 줬다고 주장하면서 메달을 판매하기도 했다.
이에 대한 비난이 일자 루이세 공주는 그해 공주로서의 작위를 상업적으로 사용하지 않겠다고 공표했다. 루이세 공주 또한 신비주의에 경도돼 한때 죽은 이의 영혼을 볼 수 있고 천사와 소통할 수 있다는 등의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또 흑인인 듀렉과 만나면서 겪은 경험을 토대로 백인 우월주의에 대해 비판한 바 있다.
노르웨이 왕실은 공주의 직책 포기 결정에 대해 “(그들의) 상업활동과 왕실을 구분하는 경계선을 더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왕실은 “노르웨이 보건당국에 깊은 신뢰를 갖고 있다”며 의학지식과 과학적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루이세 공주는 그러나 성명에서 “좋은 삶과 신체적·정신적 건강의 요소들을 연구보고서 하나로 요약하기는 쉽지 않다”며 “영성과 친밀감, 요가와 명상 등이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사적인 한 사람으로서의 나와 왕실의 일원으로서의 나를 구분 짓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느꼈다”며 자신의 견해를 누군가가 대신 답변해주길 원치 않는다고 밝혔다.


이런 공주를 보는 국민들의 시선은 차갑다. 지난 9월 설문조사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민의 17%가 왕실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했으며, 대부분이 루이세 공주와 남편 베렛을 그 이유로 꼽았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루이세 공주는 노르웨이 작가 아리 벤과 결혼해 세 딸을 뒀으나 2016년 이혼했다. 그는 딸들과 미국 캘리포니아로 이주할 계획이다.
박세영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